내간內簡해설

 1  내간內簡해설-1
 2  내간內簡해설-2
 3  내간內簡해설-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내간內簡해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내 간(內簡)
선조(宣祖)
삼옹주
그리 간 후의 안부 몰라 노라. 엇디들 잇는다?
셔울 각별 긔별 업고, 도적은 믈러가니 깃거노라. 나도 무이 인노라. 다시곰 됴히 잇거라. (酉 九月 二十日)
* 삼옹주: 선조의 삼녀(三女), 정숙 옹주. * 그리 : 그리로. 그 곳으로 * 엇디들 : 어떻게들(듣는 사람이 복수임을 드러냄) * 잇는다: 있느냐? * 셔울 : 서울. 한양 * 각별한: 특별한. * 긔별: 소식을 전함. * 도적: 왜적을 가리킴. * 깃거노라: 기뻐하노라. * 됴히: 좋게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쥬샹이 지통 즁 포 심녀로 디내시고 로 미령옵셔, 셩톄 손샹옵시기 니올 거시 업온, 출현궁 오시 일 옵고 지통을 겸와 병이 이러 위즁올 분 아니오라, 셩궁 위옵 념녀가 졀와 븟드옵고 못 가시게 오니, 이제 즉시 가려 옵시니, 지졍을 각셔 동가 젼의 셩빈옵고 알외게 하옵쇼셔.
* 정유: 선조 30년(1497년) * 쥬상: 임금, 여기서는 정조. *지통 즁: 몹시 애통한 가운데. * 포: 한 달 남짓. * 심녀: 근심. * 디내시고 : 지내옵시고 * 로: 자주. * 미령: 병환, 어른의 몸이 편하지 않음. * 셩톄: 임금의 몸. * 니올 거시 : 이를 것이. 말할 것이 * 출현궁: 왕의 관을 분광(墳壙)해서 내는 일. * 겸와 : 겸하여. 아울러 * 이러: 되어. * 위즁: 병세가 위험할 만큼 매우 중함. * 셩궁: 성스러운 관, 여기서는 사도세자의 관. * 념녀가 : 염려가. 생각이 * 졀와 : 간절하여 * 븟드옵고 : 붙들고 * 지졍: 지극한 정성. * 동가 젼: 거동하기 전. * 셩빈: 빈궁, 즉 빈소를 만듦.
인선왕후
글월 보고 무히 이시니 깃거며 보 든든 반가와 다시곰 보노라. 이번은 두어 날을 더 묵 . 호리 나갈 제 섭섭 덧업기 가지니 아니 이심만 못여 노라. 후셰예나 서 나 일이 업시 살고져 노라.
* 깃거며: 기뻐하며. * 든든 반가와 : (마음이)든든하고 반가워 * 묵 : 묵는 듯하다. 머무는 듯하다 * 호리: 갑자기, 홀홀히. * 섭섭 덧업기 : 섭섭하고 덧없기는 * 아니: 차라리. * 이심만 : (그대로) 있음만 * 서: 서로
명성왕후(明聖王后)
요이 긔운이나 무히 대내시가 아고져 오며 병환은 비록 비경타 오나 져믄 사이니 연 아니 리오랴 라다가 내 구티 믓오니 하 고 오니 이 엇딘 일이온고. 아리 각와도 거 일 고 겨 이나 인평위 이나 그리록 의 업 용 인심을 가지고셔 뎌리 되오니 턴되 그리록 무디실샤 원이도소이다. 졈졈 기고 어이 구러 셰월을 디내실고. 겨 을 각오면 목이 몌고 에엿브실샤. 계야 하님도 그대도록 의 인도 셜이도 션댜. 샹해 래음이나 번화 거 의 뉴의 됴화시던 일과 유화시던 일 가지가지 곰곰 각오면 일도 니치온 배 업와 인여 병도 되올가 시브오이다. 엇던 사은 싀동이라 고 려 혜고. 실로 내 동인 의 이대도록 못 니치고 셟오면 어이 오리잇가. 어려셔브터 동갑 동갑 고 각별이 다가 계 뎌리 되시니 리 못 닛치고 에엿브시니 히 이 사오나온 사오면 낫올 시브오이다. 샹의 의복은 겨 각오면 머어시 귀오며 앗가온 거시 잇오링잇가마 가지 것도 졍과 디 아니오니 더욱 셥셥 굿브오이다.
샹해 못 보와도 섭섭여 뎐 보올 날이 아라 오니 더욱 그립고 섭섭 굿브와 오며 이개절 잇온 제 이나 가오니 든든더니 뎌개절 가되오니 더옥 이 아라타 업시 굿브오이다. 슉졍 겨 니시거 듯오니 진지 두서술은 겨유 자신다 오니 아리 셟셔도 두로 각쇼서. 우흐로 뎐으로겨오셔 겨오시고 아래로 어린 아을 각시디, 그리 갓 셜운 일만 각고 혬을 아니 혜시닝잇가. 겨 외오셔 모시거니와 뎐으로겨오셔 엇디 념녀 오시가 너기시닝잇가. 아려나 진지나 잘 자시고 을 위로여 디대시믈 수업시 라노이다. 우흐로겨오셔 안질로 회셔 즉시 못오시고 이 업시 섭섭여 오시이다. 나도 셔나 글월이나 뎍올 거시오 망극듕 보시기 폐롭올가 이제야 뎍오니 섭섭여 노이다.
해설
조선 시대에 여성들이 친척 사이에 안부나 소식을 전할 때는 주로 한글로 편지를 썼다. 이처럼 여성을 중심으로 오고 간 편지 형식의 글을 내간이라고 한다. 내간은 보통 부녀자들 사이에 오고 간 편지를 말하나 부부 사이, 부녀 사이, 남매 사이처럼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들끼리는 남녀간에도 서로 주고받았다. 여기에 실린 세 편지 중 앞의 두 번째 편지는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이 편지에는 상대방의 안부를 묻거나 정중하게 부탁을 하거나 상대의 마음을 위로하거나 하는 등의 간곡한 마음이 잘 담겨 있어, 읽는 이에게 잔잔한 감동을 준다. 내간이 한글로 씌어진 것은 한글이 우리 글로 정착되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