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정운

 1  동국정운-1
 2  동국정운-2
 3  동국정운-3
 4  동국정운-4
 5  동국정운-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국정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국정운
Ⅰ. 서
본디 언어의 문자화는 그 고유요소와 함께 외래요소도 표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널리 쓰이기 이전까지 우리 만족은 구어와 문어를 달리 쓰는 言文二致 현상을 겪어왔으며 그만큼 외래어로서의 한자, 한문의 유입이 상당했다. 더욱이 조선은 성리학 위주의 척불숭유(斥佛崇儒) 정책으로 한자, 한문교육의 필요성이 극대화되던 상황이었다. 이렇듯 한자는 그 쓰임이 활발하였으나 표준음이 마련되지 않아 혼란이 빚어졌다.
『동국정운』은 훈민정음을 이용한 韻書로, 이러한 혼란을 막고 우리나라 한자음 표기의 표준화를 위해 편찬된 책이다. 왕명으로 집현전 학사 신숙주최항성삼문 등 아홉 명이 편찬에 착수하여 1447년(세종 29) 완성, 이듬해 간행되었다.
Ⅱ. 본
1.동국정운 제작 동기
正韻은 正 韻이니, 우리나랏 漢字音을 正히 만기 올히 쓰논 韻일후믈 正韻이라 니라.
동국정운은 한자음에 있어서 당시 조선 한자음에 대한 규범을 제시한 것으로, 중국 음운학의 기본이 되는『홍무정운(洪武正韻)』(1375)의 음운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세종 30년에 편찬되었다. 가치와 적용에 있어서 방향이 국내적이었던 동국정운을 대외적인 성격을 갖는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과 비교할 수 있다. 홍무정운역훈은 明의 홍무정운에 한자로 표음하여 중국한자음을 표기한 것으로 여기서 동국정운의 명칭과 편찬의 정신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홍무정운은 당시 한어(漢語)의 음운체계에 바탕을 둔 것이며, 동국정운의 한자음은 국어의 음운체계에 근거를 두고 있어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동국정운 서문에서 신숙주는 15세기의 한국한자음이 한어의 전통적인 자음체계에서 벗어나 큰 혼란에 놓여있다고 보고, 이를 訛(그릇될 와)로 표현했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산하가 저절로 한 구획을 이루어 기후나 발음이 華音과 다르다. 이래서 우리 語音이 중국의 어음과 다른 것은 당연한 이치인데, 한자의 음에 이르러서는 마땅히 華音과 같아야 하는데, 한자음을 발음하고 발음하는 사이에 성모와 운모의 기틀까지도 저절로 우리 어음에 이끌리어서, 자음도 우리 어음에 따라 변하였다.
또한 자모(字母)와 칠음(七音), 청탁(淸濁), 사성(四聲)이 모두 변한 것을 들었는데 이것을 구체적으로 들면 아래와 같다.
원래 중국음에서 무성유기음 [k-]로 발음되던 자음이 우리 한자음에서는 대부분 무성무기음 [k-]로 발음되고 있다.
원래 중국음에서 [k-]음으로 발음되던 자음이 더러는 [h-]음으로 발음되는 것도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국어학사』, 유창균, 형설출판사, 1984
-『신국어학사』,김민수, 일조각, 1994
『국어사개설』,이기문, 1998
-「『고금운회거요』,『몽고자운』과『동국정운』」,신용권 한국알타이학회, 2003
-「『동국정운』의 편운에 대하여」,김무림, 한국어학회, 1996
-『동국정운』,신숙주 외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