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서岸曙김억金億

 1  안서岸曙김억金億-1
 2  안서岸曙김억金億-2
 3  안서岸曙김억金億-3
 4  안서岸曙김억金億-4
 5  안서岸曙김억金億-5
 6  안서岸曙김억金億-6
 7  안서岸曙김억金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안서岸曙김억金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안서(岸曙) 김 억(金億)
Ⅰ. 안서 김억의 생애와 활동
안서 김억(1896~?)은 평주 정주 출생으로 한국 근대시의 서장을 연 개척자로 평가된다. 그는 일본 유학시기인 1914년에 일본 동경에서 발행되는 『학지광』창간호(1914. 4)에 , 을 발표하였고 제5호(1915. 2)에 , . 등을 발표하였다.
이후 안서의 문단 활동은 1918년 『태서문예신보』를 중심으로 프랑스 상징주의 시의 번역과 소개 및 창작시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최초의 번역 시집 《오뇌의 무도》는 베를렌 보들레르 등의 시를 번역한 것으로서 한국 시단에 상징적 퇴폐적 경향을 낳게 하는 촉매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타고르의 《기탄잘리》 《원정(園丁)》 《신월(新月)》 등을 번역하였고, 그 밖에 A.시몬즈 시집 《잃어버린 진주》와 한시의 번역 시집인 《꽃다발》 《망우초》 《중국 여류시선》 등이 있다. 이처럼 서양과 동양을 막론하고 대외적인 문학의 조류를 국내에 소개했는가 하면, 스스로 창작에 힘을 기울여, 『봄의 노래』(매문사, 1925.09 ), 『안서시집』(한성도서 1929.04),, 『안서시집』(박문서관, 1941.07), 『먼동이 틀 제』(백민문화사 1947.02), 『민요시집』(한성도서, 1948.12) 등의 시집을 펴내었다. 또한 제자 소월과 그의 시에 대한 깊은 애정으로 엮은 『소월시초』(박문서관, 1939.12), 『소월민요집』(산호장, 1948.01)이 있기도 하다. 『창조』,『폐허』,『영대』,『개벽』,『조선문단』,『동아일보』, 『조선일보』등에 창작시와 번역시, 평론, 수필 등 다방면에 걸쳐서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안서의 활동은 크게 서구 문학의 소개라는 측면과 창작시의 세계, 에스페란토어의 보급 그는 『개벽』에 ‘에스페란토 자습실’을 연재하여 에스페란토어 보급에 힘섰고 후에는 최초의 에스페란토 입문서인 『에스페란토 단기강좌』를 간행했다.
등이라고 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김소월의 스승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문단활동 중에서 특히 서구 문학, 즉 프랑스 상징주의의 시와 시론, 뚜르게네프와 타고르의 번역, 소개는 당대 한국 근대시의 형성에 기대한 영향을 미쳤다. 신명경, ‘김억 시론의 성격 연구’ , 동아어문논집, 1998
Ⅱ. 시 세계
김억의 시세계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다. 전기는 1920년대 중반 이전에 해당하며 상징주의를 비롯한 서구의 문예이론과 작품을 소개하며 자유시를 창작하던 시기이며, 후기는 1920년대 중반 이후로서 전통을 지향하고 민요시, 격조시를 창작하거나 민요와 시조에 심취한 시기를 말한다.
1. 전기시
(1) 초기시
그가 본격적으로 문학활동을 한 시기는 『태서문예신보』와 관련한 1918년부터 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전, 즉 『학지광』에 작품을 발표한 1914년부터 1918년 까지는 김억이 앞으로 전개될 문학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시를 그의 초기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는 『학지광』창간호(1914.4)에 , 을 발표하였고 제5호(1915.5)에 , , 등을 발표하고 있다. 본격적인 의미에서 근대시의 출발을 보여준다고는 볼 수 없으나, 후에 자유시 성립을 위한 실험, 모색기로서 그 의미가 크다. 이 시기 대부분의 시인들이 새로운 시 형태와 내용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실제로 창가나 신체시에서 완전히 벗어난 형태를 추구하지 못한데 반해, 김억은 이를 나름대로 극복, 지양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신체시의 집단의식, 계몽적 내용을 거부한 채 개인의 서정적인 세계를 추구하며 허무, 퇴폐, 염세적인 정서를 주로 다루게 된다.
하지만 이 시기 김억은 의식적으로는 새로운 시 형태를 지향하면서도 과거의 전통적 율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내용에 있어 관습적이고 계몽적이었던 신체시의 전근대성을 극복하여 개인의 서정을 노래하고 근대시의 특질을 보다 자유로운 율격과 형태에서 찾으려한 실험과 모색의 자취가 엿보이기는 하지만, 자유시를 단순히 정형시의 파괴 정도로만 여기는 등 완전한 자유시에 대한 형태적 자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는 못한다.
(2) 전기시
참고문헌
참고 문헌
양승준, 1996, 『한국현대시400선』, 태학사
김은철, 2000, 『한국근대시연구』, 국학자료원.
윤병노, 2000, 『한국근현대문학사』,명문당.
김승종, 1992,‘안서 김억의 시론 연구’, 창작문화
신명경, 1998,‘김억 시론의 성격 연구’, 동아어문논집,
정귀임, 2006,‘김억의 초기 시와 시론 ’, 국어국문학
인터넷 , http://blog.naver.com/kwank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