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분석

 1  백석 분석-1
 2  백석 분석-2
 3  백석 분석-3
 4  백석 분석-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백석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백석
1. 백석의 생애
백석은 1912년 평북 정주시 갈산면 익석동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백기행(夔行)이며, 이외에 白石과 白奭의 이름을 병행하여 사용했는데, 지면에 작품을 발표할 때는 白石이라는 이름으로 통일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의 아버지는 당시 한국에 사진 기술을 처음 도입하고 조선일보 사진반장을 지내던 인물이었으며, 아울러 가계는 하숙집을 영위하며 살았다.
1918년 오산소학교에 입학, 1924년에 졸업하고 그해 오산학교에 입학했다. 1929년 오산고등보통학교(오산학교 재학기간 중 오산고등보통학교로 개칭)를 졸업하고 조선일보사가 후원하는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 유학길에 오른다. 동경, 청산학원에서 영문학을 수학하고 1934년에 귀국, 조선일보 기자와 계열잡지인 『여성』지에서 편집일을 하면서, 1935년 8월 30일, 조선일보 지상에 첫 시작품인 「정주시」를 발표한다. 이후 계속해서『조광』지에 작품을 발표하며, 1936년 1월 20일 시집 『사슴』을 엮어낸다. 이후 1941년까지 시작활동을 전개했다. 『사슴』이후에는 시집을 펴내지 못했으며 그 뒤 발표한 시로는 」통영(조광, 1935.12)「고향」(삼천리문학, 1938.4)「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학풍, 1948.10) 등 50여 편이 있다.
1936년에 기자생활과 편집일을 그만두고 성흥, 영생여고보의 교원으로 전직한 후 1939년 경 그 일마저 그만두고 만주의 신경으로 떠나 유랑생활을 한다. 그 후 광복과 함께 신의주로 옮겼다가 고향인 정주로 돌아갔다.
2. 작가의 경향
백석의 초기시는 당시 유행하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이미지즘의 창작방법을 통해 시작을 전개했다.
산뽕닢에 빗방울이 친다
멧비들기가 닌다
나무등걸에서 자별기가 고개를 들었다 멧비들기켠을 본다
「산비」(『사슴』1936.1)
시각적 이미지 묘사로 일관된 이 시처럼 「정주성」,「비」,「통영」, 「힌 밤」등의 그의 초기시에는 이러한 이미지즘을 통한 모더니즘의 시풍이 잘 드러난다. 그러나 당시의 모더니즘이 ‘도회의 아들’이고자 한 당대 모더니스트들과 달리 시의 창작방법에만 이미지즘을 이용하고 있을 뿐, 그의 시에 나타난 세계관은 모더니즘과는 관계가 멀다.
당시 일반적인 모더니즘 계열의 시가 도시에 대한 동경, 도시적인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백석의 시는 고향의 재현에 관심을 집중한다. 「고야」, 「여우난곬족」(『사슴』1936) 등 그의 1930년대 후반기의 시는 대부분 고향의 재현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들은 서사적인 형태를 통하여 그의 시의 구체성을 뚜렷이 획득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양문규(2005), 백석시의 창작방법 연구, 푸른사상사
유광재(2002), 희소 전공국어 현대시, 열린교육
고형진(1996), 백석, 새미
김원호(2006), 현대시 분석노트, 디딤돌
http://home.cein.or.kr/~gulbaram/writer/backsuk/backsuk_1.ht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