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 주요한 분석

 1  송아 주요한 분석-1
 2  송아 주요한 분석-2
 3  송아 주요한 분석-3
 4  송아 주요한 분석-4
 5  송아 주요한 분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송아 주요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송아 주요한
Ⅰ. 생애와 문학활동
주요한은 1900년 10월 14일 평양시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아버지 주공삼 목사가 조선인 유학생 선교 목사로 동경에 머무르게 됨에 따라 13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유학생활을 시작한다. 이듬해 메이지 학원 중학부에 입학하여 1918년 졸업했고, 이어 도쿄 제일 고등 학교를 마쳤다.
일본 유학 시절, 바이런 시집과 프랑스 시집 『산호집』, 『해조음』등을 탐독했고, 고등학교에서는 불문학을 할 목적으로 불법과에 지원했는데, 이 때 서구 문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919년 1월 『학우』창간호(1919. 1. 1.)에 「에튜우드」라는 큰 제목 아래 5편의 시를 발표한 주요한은 동인지 『창조』창간호(1919. 2. 1.)에 「불노리」를 비롯한 4편의 시를, 2호에 시 「해의 시절」, 「아츰 처녀」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학활동을 시작하였다.
1919년 5월 일본을 떠나 상해로 망명하여, ‘민족의 개명을 위하여’ 후쟝 대학 공업 화학과를 다녔다. 또한 임시 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의 편집을 맡아 민족 의식을 고양하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이어 나갔다.
1924년 이광수의 주선으로 『조선문단』지의 심사 위원을 맡아 그 창간호에 그의 유일한 시론인 를 연재하면서 창작시도 싣는다. 특히 그해 12월에는 동경상해 시절의 작품을 묶어 처녀 시집 『아름다운 새벽』을 내면서 민중시 지향을 밝힌 점은 주목할 점이다.
상해에서 귀국하기 전해인 1925년에 주요한은 『조선문단』11월호에 「습작 수제」라는 제목 아래 3편의 연시조를 발표하게 되면서 시조 창작에 열의를 보인다. 이후 그의 문학관은 민족주의, 국권 회복 운동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모하게 되고, 이광수김동환과 함께 「삼인 시가집」(1929)을 발표한다. 그러나 주요한이 시조에 열의를 쏟으면서 시 창작 의욕은 약해졌고, 시조집 『봉사』이 나온 1930년 이후부터 1942년까지 시조 창작에만 열중하게 된다.
1926년에는 귀국하여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하여, 1929년 광주 학생 사건 때 투옥되었다. 출옥 이후, 수양 동우회의 기관지인 『동광(東光)』지의 편집, 발행을 맡았다. 시인, 언론인으로서의 활동을 이어가던 1937년 6월부터는 흥사단의 ‘수양 동우회 사건’으로 투옥된다. 1년 8개월 동안 복역하다가 미결수로 복역 중 보석으로 나와 1941년까지 5년간 재판을 받는 중 ‘아오무라 고이치’로 창씨 개명, 일제에 굴복하고 만다.
해방 후에는 무역 회사 경영, 국제 문제 연구소 설립, 4대 민의원 당선, 상공부 장관 역임 등 다채로운 사회 참여를 하면서 문단과는 멀어지고 말았다.
Ⅱ. 주요한의 시적 세계
1. 근대시 개척의 선구자
주요한은 1919년이 시작되는 해의 첫날에 창간되어 그것으로 종간을 맞은『학우』지에 「에튜우드」라는 보다 큰 제목으로「시내」,「봄」,「눈」,「니야기」,「기억」의 다섯 편의 시를 묶어 발표하면서 시작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그 한달 후에 창간된『창조』지에는「불노리」,「새벽꿈」,「하이얀 안개」,「선물」의 네 편을 발표하여 우리 초기 근대시사에 일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하였고, 이후 계속적인 시작활동과 시작법(作詩法)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를 펴 나갔다. 이것은 우리시가 새롭게 개선해야 할 체질적 면모들에 대해 상당히 발전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참고 문헌
김봉군 외,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1997.
윤병로,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3.
김용직 외,『한국현대시인연구 上』, 푸른사상사, 2001.
이선이,「초기 자유시 담당층의 정체성 모색과 그 의미 - 김억, 주요한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제26집, 2002.
윤여탁,「1920 년대 민요조 서정시 연구 - 김억 , 주요한 , 김동환의 시론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 제55집,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