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천명 분석

 1  노천명 분석-1
 2  노천명 분석-2
 3  노천명 분석-3
 4  노천명 분석-4
 5  노천명 분석-5
 6  노천명 분석-6
 7  노천명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천명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천명론(1912.9 2. ~ 1957.12.10.)
1. 생애와 활동
황해도 장연(長淵)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기선. 보통학교에 입학한 이듬해인 1918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어머니의 친정이 있는 서울로 가족이 이주하게 된다.
진명학교(進明學校)를 거쳐, 이화여전(梨花女專)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화여전을 다닐 때부터 시를 발표하기 시작, 졸업 후에는 《조선중앙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每日申報)》 기자를 지냈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대동아전쟁을 찬양하는 친일 작품들을 남겼다. 8·15광복 뒤에는 《서울신문》 《부녀신문》에 근무하였다. 6·25전쟁 때는 미처 피난하지 못하여 문학가동맹에 가담한 죄로 부역 혐의를 받고 일시 투옥되기도 하였다. 영어(囹圄)생활 직후인 1951년 4월 2일 부산 중앙 성당에서 베로니카란 세례명으로 영세를 받았다. 출옥 후 중앙 방송국 촉탁으로 있으면서 자신의 부역 혐의에서 벗어나려는 듯 국군의 진군을 격려하는 내용이나 애국심을 담은 시를 몇 편 발표하였다.
1956년 5월 30일 모교인 이화여대의 출판부 일을 맡아 『이화70년사』를 간행하였는데, 이 때 무리를 한 노천명은 극도로 몸이 쇠약해졌다. 결국 1957년 3월 7일 오후 3시 재생 불량성 빈혈로 거리에서 쓰러져 병원에 이송된다. 결국 병세가 악화되어 3개월만인 6월 16일 새벽 1시 30분에 누하동 자택에서 운명한다.
이화여전 재학 때인 1932년에 시 《밤의 찬미(讚美)》 《포구(浦口)의 밤》 등을 발표하였고, 그 후 《눈 오는 밤》 《사슴처럼》 《망향(望鄕)》 등 주로 애틋한 향수를 노래한 시들을 발표하였다. 1938년 초기의 작품 49편을 수록한 제1시집 《산호림(珊湖林)》을 출간하였다. 1945년 2월에 제2시집 《창변(窓邊)》을 출간하였는데, 여기에는 향토적 소재를 무한한 애착을 가지고 노래한 《남사당(男寺黨)》 《춘향》 《푸른 5월》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3시집 《별을 쳐다보며》(1953)에는 부역 혐의로 수감되었을 때의 옥중시와 출감 후의 착잡한 심정을 노래한 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밖에 수필집으로 《산딸기》 《나의 생활백서(生活白書)》 등이 있다. 널리 애송된 그의 대표작 《사슴》으로 인하여 ‘사슴의 시인’으로 애칭되었다. 친일 작품으로는 《싱가폴 함락》 《부인 근로대》 《님의 부르심을 받고》 《군신송》 등의 시와 르포인 《여인연성》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1958년 유고시집 《사슴의 노래》가 발간되었다.
2. 작품경향과 변모과정
노천명의 시는 고독과 향수의식으로 집약할 수 있는데 《산호림》에서는 유년시절의 행복했던 체험과 어쩔 수 없이 떠나온 아름다운 고향의 추억을 소재로 하여 고독이라는 주제를 낳았다. 이것은 다음 시집 《창변》에서 보다 발전된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산호림》에서 막연하던 고향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향토적이고 토속적인 방언들을 사용하여 점차 내면적인 의식의 세계로 발전시켜 나가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6.25라는 역사적 시련을 겪고 난 후 쓴 《별을 쳐다보며》는 거칠고 직설적인 감정의 토로로 인해 이전에 보여주었던 문학적 면모를 더 이상 발전시키지 못했다. 유고시집인 사슴의 노래는 다소 안정적이고 서정적, 향토적 정서를 다소 회복하는 듯하지만 여전히 불안과 초조에 시달리며 점차 죽음을 의식하고 종교에 귀의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3. 문학적 특성
1기 《산호림》
5척 1촌 5푼 키에 2촌이 부족한 불만이 있다. 부얼부얼한 맛은 전혀 잊어버린 얼굴이다. 몹시 차 보여서 좀처럼 가까이 하기 어려워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이숭원(2000), , 건국대학교출판부
성은화(2006)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장화(2005) ,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영아(2998)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