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변화와 인구와 사회

 1  제주의 변화와 인구와 사회-1
 2  제주의 변화와 인구와 사회-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주의 변화와 인구와 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주의 인구변화와 주거이동
1. 인구와 사회
인구를 연구하는 학문을 인구학(demography)이라 일컫는다. 인구학은 인구의 크기를 측정하고, 인구의 증가와 감소를 설명하는데 관심을 둔다. 그리고 인구구조는 출생, 사망, 이주라는 3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많은 산업국가들은 센서스를 실시해 자국민에 대한 기본적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있지만, 부랑자와 불법이주자 등 이런저런 이유로 완벽하게 정확하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특히 제3세계의 인구성장률이 높은 나라들에서는 인구학적 통계에 대한 신빙성이 거의 없다(기든스, 1996:565~567).
전근대사회에서는 높은 출생률과 더불어 높은 사망률로 인해 전반적으로 인구의 자체조절 리듬을 지니고 있었지만, 근대사회에서 들어와서 폭발적인 인구증가를 경험하고 있다. 맬서스는 이러한 현상과 관련하여, 1798년 발간을 통해,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식량공급은 경작할 새로운 땅을 개발함으로써만 확장할 수 있는 한정된 자원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즉, ‘인구 성장은 이용 가능한 원조수단을 능가하게 되어 필연적으로 기근이 일어나며, 이는 전쟁 및 전염병과 함께 인구성장에 자연적인 제한을 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맬서스는 피임 등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하였고, 이를 구분지어 인구폭발에 대응하여 인구 증가를 억제하려는 주장을 신맬서스주의(Neo-Malthusianism)라고 부르고 있다(기든스, 1996:569).
물론 식량부족으로 인한 인구성장 제한은 녹색혁명(관개, 화학비료와 농약, 기계를 통한 대규모 단일경작)으로 일어나지 않았다.
산업사회에 들어와서 사망률은 감소하는데 비해 출산율은 줄지 않아 높은 인구성장을 보이며, 그 이후 낮은 출산율과 낮은 사망률의 새로운 균형상태를 보이고 있다(기든스, 1996:582). 특히 초기 사망률 저하의 주된 원인 효과적인 위생, 보다 나은 영양, 하수처리 시설, 발달된 위생학 등이며, 이는 영유아 사망률 감소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약품과 의학의 진보, 항생제의 개발 등은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사망률 저하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기든스, 1996:574~575). 이렇듯 질병과 빈곤, 노령화는 인구변천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제들이다.
사람은 한 곳에서만 머물고 살지 않는다. 글로벌 미디어의 확산, 통신 및 교통혁명이라는 근대화의 또 한 가지 측면은 이주를 촉진유지하는 요인이 된다(스토커, 2004:52). 사람들은 새로운 교육과 취업의 기회를 얻고자 국내의 도시 또는 국제적으로 이주를 한다.
2. 제주의 인구변화와 주거이동
1949년에는 약 25만, 1966년은 30만을 넘어섰고, 1975년에는 40만을 넘어섰으며, 1987년 50만 명이 되었다(오홍석, 2006). 2006년 12월 31일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의 주민등록인구는 561,695명이고, 세대수는 208,424세대로, 성별로는 남자가 280,711명, 여자가 280,984명으로 여자가 273명 많다. 행정시별 인구는 제주시 405,819명, 서귀포시 155,876명이다(제주특별자치도, 2007:39).
제주도는 조선시대 200년 동안 출륙금지령이 내려질 만큼, 척박한 지역이어서 사람들이 살기 힘들었다. 하지만 일제 시대 일본과의 직접교류와 해방이후 농업 및 관광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물론 4.3으로 인해 1950년대는 인구감소를 경험하였다. 그렇지만, 제주의 자연인구증가율은 60년대부터 출생율의 증가로 계속 전국 수준을 상회하는 고성장을 지속하였다(이창기,1995:42).
이렇게 증가한 인구는 제주도내에서 대부분 도시로의 집중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써 지역 간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도로 개설의 증가는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한창후 외, 2002).
제주도의 중심도시인 제주시의 인구이동을 분석한 결과, 1) 도내보다 육지부와 더 큰 규모로 이뤄지고 있으며, 유출인구는 지속적으로 서울로 이주하고 있다. 2) 도내에서는 제주시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제주시와 인접한 북제주군에도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주거지의 교외화가 이뤄지고 있다. 인구이동의 주요한 원인으로 취업과 교육 기회를 얻고자 시외에서 제주시로, 또는 도외로 유출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렇게 이동하는 인구 중에는 교육수준과 소득이 높은 고급인력이 포함되어 있다(권상철, 2003). 또한 제주도내 거주지 이동과 선택의 요인으로 1) 결혼 또는 가족과 동반이동, 2) 내집 마련, 거주규모 변경, 집세 등이 작용한다(김태일, 2004).
3. 논의점
이상으로 인구와 관련된 사회과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보았고, 제주지역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을 해볼수 있을 것이다.
첫째, 섬이라는 환경에서 제주도 적정인구의 규모는 얼마일까? 환경사회학에서는 ‘점용환경용량’ 또는 ‘생태적 발자국’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이 현재의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를 위한 자원추출을 자연이 계속 공급해줄 수 있고, 또한 추출된 자원으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기물을 자연이 계속 흡수처리할 수 있는 토지면적(정대연, 2002:218)’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는 2003년 기준으로 3.096배를 초과하였다(Dai-Yeun, Jeong, 2005:131). 또한 이러한 환경용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의 적정인구수가 얼마인가라는데 일차적인 분석의 초점을 둔 ‘사회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정대연, 2002:229). 다만 사회용량은 자연의 환경용량과 달리 어느 수준까지는 인위적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정대연, 2002:234).
둘째, 도청의 이전에 따라 인구의 집중도 관덕정 → 광양→ 신제주로 변했다. 이러한 도시개발의 확장에 따른 부작용으로 구도심 공동화 현상이 발생했고, 도시화면적의 증가로 빗물의 투수가 불량해져 수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향후 제주시 거주지 이동은 이와 어떠한 관련이 있을까?
참고문헌
※ 참고자료
권상철, 2003, “제주시 인구이동 특징과 지역발전 : 유입, 유출인구의 사회경제적 속성비교를 중심으로”,『제주도연구』24집, 제주학회.
김태일, 2004, “제주지역의 주거이동 특징에 관한 연구 : 1997년 인구이동 특별조사 원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0권 6호(통권 188호).
기든스, 앤서니, 1996, 정성호 역, ‘제18장 인구, 건강 그리고 노령화’,『현대사회학』(개정판), 을유문화사.
스토커, 피터, 2004, 김보영 옮김,『국제이주』, 이소출판사.
오홍석, 2006, ‘인문지리’,『제주도지(제1권)』, 제주도.
이창기, 1995, “제주도의 인구성장”, 『제주사회론1』, 한울.
정대연, 2002, 『환경사회학』, 아카넷.
제주특별자치도, 2007,『도정백서 : 2005~2006.』
한창후 외, 2002, “제주도 인구이동 특징분석”, 제주대학교 첨단기술연구소 논문집, 제13권 2호.pp.241~247.
Dai-Yeun, Jeong, 2005, “An Empirical Analysis of Sustainable Development : A Case Study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ⅩⅩ, No.1,.pp.117~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