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

 1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1
 2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2
 3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3
 4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4
 5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한국의 낭만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백조, 낭만의 침실로 오너라.
1.한국의 낭만주의의 배경
1920년대 《백조(白潮)》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한국의 낭만주의 문학은 유럽의 감상주의·허무주의·퇴폐주의 등 여러 가지사상이 혼류되어 있어 한 마디로 규정하기 어렵다. 한국 근대문학 초기의 낭만주의적 경향은 서구 문학사에서처럼 정상적인 발전과정을 밟아온 낭만주의의 문학사조와는 달리,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출발한 것은 아니다. 한국의 낭만주의는 국권상실과 3·1운동의 실패로 인한 절망감과 새 출발의 고갈에서 비롯한 감상과 흥분, 또한 그 도피구(逃避口)로서 몽상(夢想), 근대화의 맹아를 제대로 피우지 못한 상태에서의 일본을 통한 세기말적 사상과 서구 낭만주의의 수입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자율적인 문학사의 전개과정상에서 근대문학형성의 한 과정으로 성립된 문화현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한국의 낭만주의는 주로 문학을 중심으로 한 운동이며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 《폐허(廢墟)》 《장미촌(薔薇村)》 《백조》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25년을 분기점으로 전기에는 개인주의적·유미적·퇴폐적 낭만주의가 성행하였고, 후기의 시에서는 민족추구의 민중주의적·이념적 낭만주의가 추구되는 한편, 소설에서는 사실주의 혹은 계급주의적 성향으로 진전되는 모습이 보였다. 우리나라에 서구문화가 문화적 성향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것은 1910년대부터이고 1920년대는 자유시로 대표되는 퇴폐적 낭만주의 또는 상징주의라는 문예사조가 전통적 맥락 속에서 외래지향적인 성향을 추구하던 시대이다.《폐허(廢墟)》로 대표되는 외국문학의 본격적인 소개 이전에 근대한국문학에는 김억, 주요한, 김소월, 홍사용 등과 같은 정신적 방황이나 낭만적 동경의 공통적 성향을 드러내는 작가들이 이미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낭만주의는 1910년대부터 개화기의 ‘민족’이라는 집단적 관념의 틀을 벗어나서 ‘개인의 감정’으로의 전환을 보여준 시점에서 태동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초기적 성향은 《폐허(廢墟)》《장미촌(薔薇村)》《백조》등을 거치는 동안 황석우, 박종화, 이상화 등의 시작품들과 현진건, 나도향 등의 초기소설을 통해 하나의 문예사조로 정착되었다. 이들의 문학은 현실적인 이상이나 미래에의 희망을 가질 수 없어 절망적인 기운에 빠져 단순히 병적이며 퇴폐적인 문학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도피처로서 몽상의 세계를 찾았다. 한편 지나치게 자기감정에 치우쳐 주관세계만을 표현하였으므로 자연히 소설보다는 시가 낭만주의의 주류를 형성하였으나, 몇 편의 수작을 빼고는 대부분 무의미한 영탄에 빠져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시감정은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긍정적 분출이라기보다는 개인 존재의 유지를 위한 절망적인 몸부림이었다.
2. 낭만주의자들의 특성
낭만주의라는 말은 그것이 지닌 본질의 애매성, 그 자체가 포괄하고 있는 이념적 모순으로 인해 개념 규정에 있어서 여러 이설이 제기되어 왔다.
우선 낭만주의는 합리적 사고에 대하여 직관적 비합리적 사고, 지성적 세계인식에 대하여 감성적 세계인식, 이성적 세계관 대신에 환상적 세계관의 추구, 그리고 현실 도피, 동경, 원시성의 탐구, 민족주의, 동력적 자연인식 자연성 등을 추구한다.
낭만주의자들은 현실-인위적 제도, 사회적 속박에서는 그들의 높은 이념을 완성시킬 수 없고 자연의 세계에서만 그 실현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것은 자연이야말로 그 스스로 생성발전해 가는 실체이며, 무한한 자유와 의지를 지닌 유기체로 파악했다.
그리고 낭만주의에 있어서 자연의 중요성은 낭만주의의 또 다른 본질인 ‘憧憬’ 에서 연유된다. 낭만주의가 미지의 완전한 세계, 신비로운 꿈의 나라에 대한 동경심의 표현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따라서 그와 같은 현실 도피, 또는 동경의 대상으로 자연 혹은 신화세계가 중요한 의미로 등장하게 되었던 것은 당연하다.
낭만주의자들은 인위적인 현실계를 떠나서 자연, 더 나아가 자연이 지닌 태고의 순수성-원시 및 신화세계로 돌아가기를 꿈꾼다.
3. 백조
-1922년 1월에 창간된 순문예 동인지. 박종화, 홍사용, 나도향, 박영희 등이 참여하였다. 편집인은 홍사용.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을 택했는데, 1호는 아펜셀러이고 2,3호는 각각 보이스부인, 훼루훼루로 모두 외국인 이었다. 김덕기와 홍사용의 친척형인 홍사중이 자금을 출자했다. 1923년 9월에 3호를 내고 종간하였다. 원래 문예잡지 와 사상잡지 를 낼 계획이었으나 만 간행되었고, 주로 시분야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1) 백조의 시세계: 낭만주의적 경향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현대시 400, 양승준, 태학사, 1996
한국현대문학 작은사전, 가람기획 편집부, 가람기획, 2000
한국낭만주의시연구, 오세영, 일지사, 1990
한국근대시사, 김용직, 학연사, 198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