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

 1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
 2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2
 3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3
 4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4
 5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5
 6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6
 7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7
 8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8
 9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9
 10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0
 11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1
 12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2
 13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3
 14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4
 15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5
 16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6
 17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7
 18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8
 19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19
 20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 사이트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온라인 저널리즘의 정치적 동학: ‘논객사이트’를 중심으로
Ⅰ. 서론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저널리즘의 양식이 점차 다채롭게 나타나고 있다. 역사적으로 새롭게 등장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저널리즘 양식의 변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듯이,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저널리즘의 혁신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은 기술에 의한 자연적 결과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회집단에 의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저널리즘의 역할 및 정체성과 관련된 학문적 궁금증은 대체로 ⅰ)기술적 차원의 관심을 인터넷신문 등과 접목한 기술중심적 매체연구와, ⅱ)수용자와의 관계, 인터넷의 사회적 기능, 온라인 저널리스트의 역할 변화 등 인간과 사회에 초점을 맞춘 인간중심적 연구 등 크게 두 가지 관심사에 초점을 맞추어 발전해왔다.(박성희, 2001: 131)
온라인 저널리즘은 다양한 실천적 함의를 품고 있지만, 그것은 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및 담론수행 구조의 혁신과 주체의 다변화로 집약된다. 단적으로 말하면 온라인 저널리즘은 메시지의 일방적 전달과 수동적 수용자 집단을 정형화해온 전통적 저널리즘에 대한 반명제이다. 매스미디어는 대규모의 메시지 생산과 전달 능력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회적 견해를 수용하고 공론을 활성화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퀄터(Qualter)는 매스미디어에 의해 전통적으로 수행되어온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①메시지 발신자는 일반 대중에게 의사를 전달하는 정당과 정부와 같은 구조화된 집합체이다. ②발신자들은 본성상 엘리트주의적이며 층화되어 있다. 대중들은 수용자로서 미디어에 접근하지만 기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③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은 하향적이다. ④미디어 접근은 엘리트들이 열성적으로 수호하는 하나의 자원이다. ⑤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대중들이 갖는 주요한 방어기제는 그것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⑥매스미디어는 기존 제도에 도전하기보다는 그것을 옹호하며, 보수적 가치를 전파강화한다.(Qualter, 1985: 198-200)
이것은 매스미디어에 구현된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적 한계와 기성 언론의 권력화상업화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온라인매체들은 기술적 강점을 토대로 기성 언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풍부한 가능성을 일깨워왔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은 ‘탈자본화, 탈전문화, 탈중심화, 수용자 접근권의 확대,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임정수, 2003: 40) 등을 구성 요소로 하는 대안언론(alternative communication)으로 구체화되어왔다.
온라인 대안언론은 우리사회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pc통신과 인터넷신문 그리고 논객사이트 등의 유형으로 발전해왔다. 이 매체들은 매스미디어로부터 소외되어온 사회집단들의 공론권을 회복시킴으로써 누구나 자신의 견해를 표출할 수 있는 의사소통적 민주주의(communicative democracy)를 증진시켜왔다. 그리고 온라인 매체들을 통해 생성되는 대안적 공론장(alternative public sphere)은 공히 아래로부터의 의제설정과 여론형성을 활성화하고 있다. 나아가 기성 사회질서에 대항하는 가치와 담론을 생산소통시키며 정치참여의 새로운 기회공간으로서도 역할하고 있다.
온라인상의 대안적 공론장은 그 공간적 특성에 의해 동질적 이해 추구자들의 결속 및 공론 활동을 촉진한다. 온라인 공간은 본질적으로 단일한 공간이 아니라 ‘복수의 공간들의 공간’(space of plural spaces)이다. 이러한 공간들은 관심사와 목표를 공유하는 사람들에 의해 분절적으로 만들어지고 구획된다. 선스타인(Sunstein, 2001: 54)은 인터넷 웹사이트의 전문화 경향 속에는 내용에 대한 여과기술-예컨대, 검색장치와 같은-이 포함되어 있으며, 시민들은 이를 통해 자신과 의견이나 선호가 같은 사람들의 집단을 찾아다닌다고 설명한다. 이 때문에 온라인상의 대안적 공론장은 이질적인 견해들의 수렴과 조정보다는 동질적인 견해의 재강화를 촉진하는 측면이 더욱 강하며(Norris, 2002), 상이한 가치와 목표의 등장에 따라 공론장들의 형성과 분화가 매우 역동적으로 전개된다. 이같은 점은 온라인상에서 공론 활동 자체가 매우 배양되면서도 대립적 의견들의 상호 소통이 제약될 두 가지 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한다. 따라서 공중들은 자신의 의견을 능동적으로 발화하며(speech) 여론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파편화되거나 모자이크화될 수 있다.(황용석양승찬, 2003: 111-115)
이 연구는 우리사회의 온라인 저널리즘의 사회적 실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상의 대안적 공론장의 형성분화 및 담론수행방식의 특성을 논구한다. 우선 1990년대 pc통신과 온라인신문을 사례로 온라인상의 대안적 공론장의 발전 경로와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대안적 공론장의 정초기라고 할 수 있는 이 시기의 논의를 통해, 시민참여적 공론 활동이 온라인 매체와 결합하여 어떻게 활성화되어갔는지를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의 보다 중요한 사례인 2000년대 논객사이트를 통해 대안적 공론장의 특성을 분석한다. 논객사이트를 분석 사례로 선정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매체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전례 없는 온라인 저널리즘의 실천 양식이라는 점, 그리고 16대 대선과 그 이후로 사회적 영향력이 매우 증대되었다는 점 대표적인 논객사이트 서프라이즈의 경우, 16대 대선 당시 노사모와 더불어 노무현 후보 당선의 양대 견인차로 평가받았으며, 현재는 오마이뉴스프레시안과 더불어 3대 온라인 매체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 주목된다. 또한 이 매체의 대단히 역동적인 형성과 분화, 그리고 담론수행 방식의 혁신은 종래와 대별되는 대안적 공론장의 특성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정치적 의제로의 집중’과 ‘당파적 글쓰기’라는 독특한 담론수행방식으로 대안적 공론장을 상이한 정치적 지향에 조응하는 복수의 장들로 분화시키고 있는 점은 이 연구의 주된 논의 대상이다. 이 논문에서는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당파성(partisanship), 공동체성(community orientation)의 지표를 통해 논객사이트의 형성과 분화 및 담론 수행의 다이내미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주로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과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행되었다. 참여관찰은 지속적주기적 관찰을 통해 연구자가 대상자들(또는 대상 집단)의 정체성 및 상호작용의 맥락들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Jones, 2000: 220-225) 그리고 심층인터뷰는 대상자들(또는 대상 집단)의 자발적 진술을 통해 연구자가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고, 그들의 인지와 행위간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방법의 병행은 이 연구의 목표에 부합하며,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Ⅱ. 이론적 고찰: 온라인 저널리즘과 대안적 공론장
커뮤니케이션 분배구조는 사회적 권력관계를 반영하며, 정보 유통을 둘러싼 관련 주체들의 역할과 기능 및 그들의 관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Newhagen & Levy, 1996) 오늘날 인터넷을 매개하는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은 정보발신자와 수용자간의 경계 붕괴, 게이트키핑의 해체, 다양한 방식의 소통 등 커뮤니케이션 분배구조의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Poster, 1998: 9-13) 매체의 발전에서 확인되듯이 특히 뉴미디어에 구현된 기술적 특성은 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저널리즘의 실천의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함의를 던지고 있다. 전통적인 저널리즘이 채택하고 있는 기술들은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매스미디어가 실행하고 있는 기술은 주로 생산에 관한 내용이 중심이다. 신문의 대중화는 생산기술의 향상으로 가능했으며, 방송 또한 대부분 시청자들과 무관한 생산과 관련된 기술에 의존한다. 그렇지만 온라인 저널리즘은 정보의 생산은 물론 전송, 분배, 공유 과정이 모두 기술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즉 기술이 매우 강력하게 저널리즘을 수렴하고 있는 것이다.(김성순, 2003: 13-17)
온라인 저널리즘이라는 용어는 기실 다양한 의미와 영역을 포괄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컴퓨터를 활용한 취재보도를 포함시키기도 하고, 대개는 기존 언론사나 온라인에서만 존재하는 독립 뉴스사이트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뉴스를 이용자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상의 게시판, 토론방, 채팅, 혹은 뉴스그룹까지 온라인 저널리즘의 일부로 보기도 한다.(윤태진강내원, 2001: 310) 요컨대, 현행 온라인 저널리즘은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폭넓게 정의된다. 첫째, 기존의 매스미디어가 온라인(pc통신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역을 말한다. 둘째, 컴퓨터를 활용한 취재보도나 전자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한 저널리즘을 의미한다. 셋째, 오프라인에는 존재하지 않고 온라인에서만 존재하는 신문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문적 뉴스를 제공하는 닷컴(.com)도 온라인 저널리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넷째, 뉴스그룹 서비스나 게시판, 그리고 토론방 등과 같이 온라인을 이용하는 모든 주체들간의 다양한 정보나 의견을 교환하는 행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윤영철, 2000)
참고문헌

강미은. (2001).『인터넷 저널리즘과 여론』, 나남출판.
김경호. (2004). “정치 패러디와 표현의 자유: 의견 표현과 사실적시의 이분법적 접근,”『제7회 한국언론법학회 세미나 자료집』
김성순. (2003).『온라인 저널리즘』, 도리.
김종길. (2003). “‘안티사이트’의 사회운동적 성격 및 새로운 저항 잠재력의 탐색,”『한국사회학』37(6).
민경배. (2001). “인터넷시대 대안미디어의 현단계와 가능성: 오마이뉴스의 실험을 어떻게 볼 것인가,”『한국대학원생대표자협의회 주최 춘계 대안아카데미 학술특강자료집: 정보화, 정치 그리고 사이버문화』, 서울: 건국대학교 대학원 학술연구단체연합.
박선희a. (2001). “인터넷 이용자의 뉴스 생산 참여: 의 사례연구,”『한국방송학보』16(2).
b. (2001). “인터넷 신문의 뉴스 특성과 대안언론의 가능성,”『한국언론학보』45(2).
박성희. (2001). “온라인 신문의 기사 게재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미국 과 한국의 사례 비교 연구,”『한국언론학보』제45(특별호).
박춘서. (2000). “시민운동과 대안언론: 한국적 대안언론 유형의 모색,”『한국언론학보』제44(3).
배영. (2003). “사이버 커뮤니티의 내부 동학과 관계구조: 28개 전문인 포럼의 비교 분석,” 『한국사회학』37(3).
변희재. (2003). “정치칼럼사이트를 통해 본 노무현정부,”『대자보 & 시대소리 정치개혁 토론회 자료집』
서이종. (2002).『인터넷 커뮤니티와 한국사회』, 서울: 한울 아카데미.
서프라이즈. 2004.『새시대의 첫 차가 될 것인가 구시대의 막차가 될 것인가 12』, 시와사회.
시사저널. 01/11/1., 03/10/30.
오연호. (2003). “2002년 대선과 언론권력의 변화,”『계간 사상』여름호.
. (2004).『‘대한민국 특산품 오마이뉴스』, 휴머니스트.
윤영민. (1996).『전자정보공간론: 컴퓨터 네트워크의 사회학적 탐색』, 전예원.
윤영철. (1998). “대안적 매체로서의 pc통신: ‘한총련’에 관한 토론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43(1).
. (2000). “온라인 저널리즘과 새로운 언론패러다임의 모색,”『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0년 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윤태진강내원. (2001). “온라인신문에 나타난 공공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인스닷컴’, ‘인터넷한겨레’, ‘오마이뉴스’의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한국언론학보』46(1).
이기형. (2003).『온라인 정치컨텐츠 연구』, 한국언론재단.
이상길. (2003). “공론장의 사회적 구성: 가브리엘 타료드의 논의를 중심으로,”『한국언론학보』47(1).
이원태. (2003). “사이버 공동체와 한국사회: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중심으로,”『계간 사상』여름호.
. (2004). “인터넷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2004년 한국의 제17대 총선정국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재완. (2004). “정치 패러디와 표현의 자유의 한계,”『제7회 한국언론법학회 세미나 자료집』
일요시사, 03/11/20
임정수. (2003). “대안매체로서의 인터넷에 대한 연구: 노동운동 관련 웹사이트들의 비교를 중심으로,”『한국언론학보』47(4).
장용호. (2002).『사이버 공동체 형성의 역동적 모형』, 집문당.
정희주. (2003). “논객, 논객론,”『시대소리, 03/11/14』
조석장. (2004).『한국의 e폴리틱스』, 향연.
진보통신단체연대모임 외. (1997).『‘97 정보통신검열백서』
진행남. (2002). “인쇄신문과 독립 인터넷 신문의 기사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낙진. (2000).『인터넷신문: 정보화사회의 저널리즘과 인터넷신문의 생존전략』, 세계사.
최영. (2002). “온라인신문에서의 시민저널리즘 가능성 연구: 일상적 실천을 중심으로,”『한국언론학보』46(6).
최영김병철. (2000). “인터넷신문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한국언론학보』44(4).
한겨레신문. 03/02/06.
홍성구. (2001). “인터넷과 정치적 공론영역의 복원: 숙의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용석양승찬. (2003). “인터넷 토론 활성화를 위한 ‘상호작용성’ 개념 탐구,”『언론과 사회』11(2).
황의완. (2004).『정치백신 e-Politics』, 가교출판.
각 인터뷰 자료.
Atton, C. (2002). Alternative Media. Thousand Oaks: Sage.
Bimber, B. (1998). "The Internet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Populism, Community and Accelerated Pluralism," Polity Vol. 31., No. 1.
Curran, J. & Gurevitch, M. (1993). Mass Media and Society. London: Edward Amold.
Dahlgren, P. 1995. Television and the public sphere. Sage Publication
Davis, R. 1999. The Web of Politics: The Internets Impaction the American Political 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Eyeman, R. & Jamison, A. (1991). Social Movement: A Cognitive Approach. Cambridge Polity Press.
Fraser, N. (1992).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A Contribution to the Ct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in Calhoun, C(ed.),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The MIT Press.
Gramsci, A. 이상훈(역). (1995).『그람시의 옥중수고Ⅱ』, 거름.
Habermas, J., Burger, T. (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idge, MA: MIT Press.
Jones, Steve. 이재현(역). (2000).『인터넷 연구방법: 쟁점과 사례』, 커뮤니케이션북스
Keane, J. (1995).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Public Sphere," The Communication Review, 1(1).
Kellner, Douglas. (2001). Intellectuals, the New Public Spheres, and Techno-Politics. www.gseis.ucla.edu/faculty/kellner
Massey, B. & Levy, M. (1999). "The Use of on-line Journalism in Asian countrie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Spring.
Negt, O. & Kluge, A. (1993). Public Sphere and Experiance: Toward an Analysis of the Bourgeois and Proletarian Public Spher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Newhagen, J. E. & Levy, M. (1996). Distributed Communication Architecture and News. http://www.wam.umd.edu/~creampuf/grape.html
Norris, P. (2002). Democratic Phoenix.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vlik, J. V. (1997). "The Future of Online Journalism-Bonanza or Black Hole?," Colombia Journalism Review, Aug, 36.
Poster, M. 이미옥김준기(역). (1998).『제2미디어 시대』, 민음사.
Qualter, Terence. (1985). Opinion Control in the Democracies, New York: St. Martins Press.
Rheingold, H. (1994). "The Electronic Landscape: A Writers Perspective," Paper presented at Writers Retreat on Interactive Technology & Equipment Conference. June at University of Vancouver. British Columbia.
. (1997).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New York: HarperCollins.
. (2002). Smart Mobs. Perseus Publishing.
Schultz, T. (2000). "Mass media and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An exploratory study of online forums and reader email," Media, culture & Society 22.
Sunstein, C. (2000). Republic.com. New Jersy: Princeton University Press.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신규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