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

 1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
 2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2
 3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3
 4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4
 5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5
 6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6
 7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7
 8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8
 9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9
 10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0
 11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1
 12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2
 13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3
 14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4
 15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5
 16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6
 17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7
 18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8
 19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19
 20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5.11.28
  • 40페이지 / hwp
  • 3,400원
  • 10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일본문학] 문학으로 본 한일 양국의 국민성- 춘향전과 주신구라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머리 - 문학을 통해서 본 국민성

Ⅱ. 쟁점 - 문학과 국민성의 관계

Ⅲ. 『춘향전』분석
1)『춘향전』의 줄거리
2)『춘향전』창작과 당시 시대적 배경
3)『춘향전』주제와 인물분석
4)『춘향전』을 통해서 본 한국인의 國民性

Ⅳ. 『』분석
1) 『충신장』의 줄거리
2) 『충신장』창작과 당시 시대적 배경
3) 『충신장』인물분석과 주제의식
4) 『충신장』를 통해서 본 일본인의 국민성

Ⅴ. 끝머리 - 문학을 통한 국민성 비교의 의미





◈ 부록 - 시나리오 창작

1. 한국판 주신구라 - 『충신전』
2. 일본판 춘향전 - 『』
본문내용
인간은 집단을 이루며 살아간다. 인간의 집단은 그 기준을 무엇으로 삼느냐에 따라 인종, 민족, 국민, 지역, 계급, 성별 등 다양한 이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집단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로 설명될 수 있는 지점이 존재하는데, 가령 대한민국의 국민과 일본의 국민처럼 상호대등한 관계가 있는가 하면, 대한민국의 전체국민과 대한민국의 서울시민처럼 한 집단의 구성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른 집단에도 소속된 관계인 경우도 있다. 물론 현실을 살펴보면 한국국적과 일본국적을 모두 갖고 있는 미성년자와 같은 예도 존재함이 사실이나, 그것은 드문 경우로 다국적을 인정하지 않는 국가에 있어서는 일시적인 예외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집단 사이에서 개인 또한 여러 집단 및 그 속의 개인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게 된다.
한편, 동일한 집단의 구성원은 행동이나 사고, 생활에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추상화·일반화하여 도출해낸 개념이 동양성·민족성·국민성·지역성과 같은 것들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특정한 집단의 구성원간에 공유되는 어떤 특질을 탐구하는 것에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에 대하여는 다음의 세 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다.
첫번째 의미는 집단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특질은 개인으로 하여금 그러한 집단을 결속·형성케 하는 구심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 있다. 물론, 인간이 집단을 이루는 이유에는 개인의 자유의사 이외에도 강제력을 가진 타의라던가 출생에 따른 선천적 조건 등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개인에게 그의 소속집단으로부터 이탈할 자유와 다른 집단에 참여할 권리를 보장되는 경우에 있어 어떤 집단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특질은 개인으로 하여금 그 집단에 소속할 것을 결의·용인케 하는 동인, 즉 구심력으로 기능한다.
참고문헌
김광순, 「춘향전 근원설화의 연구사적 검토」,『국어국문학』103호, 1990
김수행, 「토론광장-국민국가는 여전히 중요하다.」,『역사비평』58호, 2002
김준영, 「우리 국민성과 국문학」,『어문학』 9, 1963
김태환, 「이데올로기와 국민성」,『북한』 12권 8호, 1983
노자영, 「문학과 국민성」,『신동아』 4권6호, 1934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문학한글』 4집, 1990
이상숙, 「춘향전을 중심으로 한 전통논의의 양상」,『국어국문학』 120호, 1997
천두현, 「춘향전의 주제에 대해서」,『어문학 교육』 2~3집,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