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

 1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1
 2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2
 3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3
 4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4
 5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통합적 접근
개 요
소화불량(dyspepsia)이란, 상부위장관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모든 소화기 증상을 포함하는 용어로, 크게 장기의 원인 질환이 있는 기질성 소화불량과, 다른 검사상 특별한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발현하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나뉜다. 주 증상으로는 상복부의 팽만감, 조기 만복감, 구역, 트림, 식후 상복부 통증 등, 상복부 중심의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진단 기준이 되는 Rome Ⅲ Criteria에서는, 위십이지장 영역에서 발생되는 증상인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위통, 속쓰림 중 한 가지 이상 호소할 때라고 표현하고 있다.
기능성 소화불량인 환자에서는 위십이지장의 운동 이상이 관찰되는데, 위전도 이상 배출불능, 내장 과감각, 소장의 운동능 저하 등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위배출능계의 이상보다 위적응 이상이 기능성 소화불량의 주된 병태생리로 알려져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일단 병력청취나 검사 등을 통해 기질적인 원인이 완전히 배제되어야 한다 국가건강정보포털, ‘소화불량’ (http://health.mw.go.kr)
.
A 단계 치료법
- Helicobacter pylori 균 검사 및 치료
Helicobacter pylori균의 제거는 기능성 소화불량을 가진 환자들에게 있어 유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in functional dyspepsia: HEROES trial. Mazzoleni LE 외, Arch Intern Med. 2011;171(21):1929
. 비록 H.pylori균과 기능성 소화불량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으나, 이 연구에서는 4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통제군에 비해 H.pylori 균 항생제를 복용한 집단에서 유의한 증상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그보다 앞서 진행된 systemic review 연구에서, 총 3566명의 환자를 다룬 17개의 RCT 연구에서 작지만 유의한 효과를 보았음을 확인하고 있다 An update of the Cochrane systematic review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in nonulcer dyspepsia: resolving the discrepancy between systematic reviews., Moayyedi P 외, AM J Gastroenterol. 2003;98(12):2621
. 본 연구에서는 12개의 H,pylori 제거 치료와 위약효과를 위한 항생제의 효과 연구의 결과들을 대조했는데, 여기에서 유의한 효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또한 나머지 다섯 연구에서는 Cochrane 및 Annals 리뷰 사이에서 방법론적으로 차이점을 비교연구 하였는데, 마찬가지의 결과를 보였다. 상기한 연구들을 통해, 비록 명확한 기전 및 상관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H.pylori 균의 검사 및 치료가 기능성 소화불량의 치료 혹은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프로톤 펌프 억제제 (PPI)와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제산제
기능성 소화불량의 대표적인 증상은 궤양과 유사하기 때문에 항궤양 치료에 준하는 위산분비억제제인 PPI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연구 Efficacy of omeprazole in functional dyspepsia : double-blind, ram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Talley NU 외, Aliment Pharmacol Ther. 1988;12:1055~1065
에서 그 효과가 증명된 바 있다. 위의 연구 이외에도 10개의 무작위 통제 연구에서 3347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PPI 2주~8주 투약 후 소화불량증에 대한 효과가 34%로 위약(25%)보다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