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1  철학 -1
 2  철학 -2
 3  철학 -3
 4  철학 -4
 5  철학 -5
 6  철학 -6
 7  철학 -7
 8  철학 -8
 9  철학 -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현대교육철학-미국.독일.서구.한국
  • [철학]칸트의 인식론 고찰 - 시간 공간론과 범주표를중심으로
  • [철학자]헤겔과 마르크스에 대한 조사
  • 철학자 데이비드 흄 철학,공리주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 이신론,동감이론,인성론, 철학자 데이비드 흄 미학, 철학자 데이비드 흄 딜레마 분석
  • 교육철학(교육사상)기본개념, 교육철학(교육사상)역할, 진보주의,본질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항존주의,생태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분석교육철학
  • 교육철학(교육사상)의미,기능, 사회적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상주의,실재주의,실존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항존주의,진보주의,재건주의 교육철학
  • 교육철학(교육사상)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기능, 교육철학(교육사상) 대표적 학자, 본질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인격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실용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과 제언
  • 종교철학의 개념, 종교철학과 사랑, 지그문트 프로이드(프로이트)의 종교철학, 임마누엘 칸트의 종교철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교철학 분석
  • 동양철학에세이 독후감 동양철학가와 동양사상에대한개인적생각(유가, 도가, 묵자, 법가, 명가, 주역)
  • 교육철학(교육사상)발달,의의, 교육철학(교육사상)분류,기능, 실용주의,진보주의,실존주의,재건주의 교육철학(교육사상), 교육철학(교육사상)비교
  • 소개글
    철학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철학
    1.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는 사회 변동이 극심했다. 원인은 주나라 왕실이 낙양으로 천도하면서 힘을 상실한 데 있었다. 그리하여 세력이 막강한 제후들은 조그마한 나라들을 집어삼키기도 했고, 또한 막강한 제후는 왕의 명분을 빌어 실력을 행사했다. 이것을 이른바 춘추오패(春秋五覇)라고 한다. 이런 패자(覇者)가 되기 위해서는 능력 있는 신하가 뒷받침해 주어야만 했다. 따라서 제후의 권력 역시 점차 신하에게 빼앗겼고, 그 결과 진(晉)나라는 한(韓), 조(趙), 위(魏) 세 나라로 나누어지고 제(齊)나라 제후는 강(姜)씨에서 전(田)씨로 바뀌었다.
    그러나 춘추시대 사회 문화변동의 보다 큰 원인은 바로 생산력의 발전에 있었다. 중국은 은 은(殷)나라 말기와 주(周)나라 초기에 농경 위주의 사회로 발전했지만 석기(石器) 농기구를 사용하여 집단 경작을 하였으며, 정전제(井田制)에 의해 매매를 하지 못했다. 그러다 서주 말기와 춘추시대 초기에 철기(鐵器)를 농기구로 사용하고 소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개인 경작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생산력의 발전은 정전(井田) 이외의 많은 땅을 개간할 수 있게 되면서 사유(私有)가 생기고 매매가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신분의 변동이 크게 일어났다. 즉 귀족 계급이 몰락하고 평민의 지위가 상승한 것이다. 2012년도 동양철학사 ‘墨家철학’ 발제문
    2. 공자의 사상체계
    서양 철학은 그 시원에 있어서 자연 철학을 근본으로 했지만, 공자학은 인간 철학을 근본으로 해서 출발했다. 서양 철학이 세계의 아르케를 ‘물이다’ 혹은 ‘불이다’고 하는 자연 철학에서 출발했지만, 공자학은 하늘에 대한 신앙에서 출발한 예악을 인간학으로 전환하는 창조과정에서 그 특색을 볼 수 있다. 공자사상의 가장 위대한 공헌은 무엇보다도 인(仁)의 이념으로 인간존재를 바라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본질적인 덕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그것을 인으로 체계화하였다. 공자는 종전에 계급에 의해서 위계적으로 파악되거나, 아니면 천 또는 귀신의 권위에 눌려 타율적으로 자신을 바라보던 의존적 인간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 대신에 계급을 초월하여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보편적 덕성 즉 인을 발견하였고, 인의 실현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인격을 완성해나가자는 자율적 인간관을 제시하였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2, p35
    1)천관(天觀)
    공자는 오십이 되어 천명을 알았다고 하였다. 공자사상에 있어서 천과 귀신이란 무엇인가? 세계의 운동과 변화의 배후에는 그것을 주재하는 절대적 존재가 있다. 그것을 공자는 천(天)이라고 부른다. 공자의 천관은 세계와 인간의 만사를 주재하는 인격신으로서의 은주(殷周)시대의 상제천(上帝天) 관념을 일면적으로 계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신비하고 불가해한 종교적 성격이기보다는 대단히 합리적인 방향으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공자는 귀신을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에 대해 말하지 않았고, 공경하면서도 가능한 멀리하려고 하였다. 공자가 말하는 천은 역사의 과정과 개인의 실존적 삶에서 일정한 섭리를 주재하고 있다. 공자는 스스로가 천에 의해 일정한 사명을 부여받았다고 ㅇ확신하고 그것의 실현에 일생을 몸 바친 것이다.
    공자의 천에 대한 믿음은 역사현실이 우연성에 의해서가 아니라 천의 섭리에 의해 주재되고 있다는 믿음과 연결되고, 이러한 믿음은 역사현실에 일정한 합리성이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공자에게 역사현실의 합리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보다 이성적으로 계명되고 도덕적으로 성숙되어서 진정한 의미의 질서와 평화가 정착된 인간적 사회의 실현일 것이다. 이러한 공자의 이상은 그가 천을 믿는 한에 있어서 확고한 불변적 믿음이었다. 공자는 자기의 사명을 자각하고 부단한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실현되지 못하자 현실 역사의 과정이 합리적이지만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사 장기적 안목에서는 합리적이라고 하더라도 단기적으로는 불합리하고 불가해한 측면이 있고, 또한 그러한 이상의 실현이 대단히 어렵다는 것을 자각하게 된다. 그러나 그는 역사현실 속에서 자기의 이상이 실현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최후까지 그 이상을 포기하지 않고 자기의 능력이 닿는 한에서 최선을 다했다. 공자는 보다 장기적 안목에서 교육을 통한 이상의 실현을 추구함으로써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을 몸소 실천하였다.
    공자의 천에 대한 향내적 믿음은 현실적 삶으로부터 유리되도록하거나 불합리한 행동을 유발하기보다는, 오히려 한층 합리적이고 현실참여적 정열의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공자와 그 이후 유교의 천관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2002 p.33-35
    2) 인(仁)
    공자의 근본 문제는 인간이었다. 사람은 서로 남과 관계하는 가운데서 일상생활을 시작하며, 그러한 생활을 통하여 반성하고 성찰하면서 삶의 방법과 질서를 모색한다. 모든 덕을 포괄하는 삶의 원리를 공자는 인의 덕에서 발견했다. 『논어』에서는 약 40여조에 걸쳐 인을 설명하고 있다. 효제(孝悌), 예악(禮樂), 의리(義理), 지(知), 용(勇), 충서(忠恕) 등 모든 덕은 인에 의하여 원리적 기초를 얻게 된다. 공자의 인의 의미를 분석해 보면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인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