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
 2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2
 3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3
 4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4
 5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5
 6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6
 7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7
 8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8
 9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9
 10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0
 11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1
 12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2
 13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3
 14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4
 15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5
 16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6
 17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7
 18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8
 19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19
 20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혁신학교 수업개혁의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성 탐색
-경기도 소재 혁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이들의 변화에 대해 실제로 교사들이 느끼게 된 것은 2010년 5월을 넘기면서이다. 그 이전에는 교사들이 잘 몰랐는데 5월 이후에는 아이들이 확실히 달라져 있었다. 수업 중 아이들의 얼굴에는 유순하고 예쁜 표정이 있었다. 나는 혁신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3년 동안의 성장이 앞서 있던 그냥 그렇게 지나가는 시간 속에서 수업에 익숙해지게 되면서 수업을 이끌어가는 능력이 만들어지던 19년의 성장보다 더 크다는 것을 느낀다.” - 장남중학교 교사의 에세이 중
“아이들이 모든 학습 활동에 흥미를 갖기란 쉽지 않지만 주제에 대해 필요한 것을 스스로 찾는 모습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수업에 소극적이던 모습 또한 능동적으로 조금씩 변하고 있습니다. 학습자의 삶과 배움이 연결될 때 아이들의 내면에서 배움이 가장 잘 일어나는 것을 계속 발견하고 있으며 힘들지 않게 학습에 참여하는 것 또한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서신초등학교 교사의 에세이 중
위 글들은 최근 들어 공교육의 대안으로 떠오른 혁신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이 작성한 글이다. 위 글을 쓴 교사들은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동안 자신들의 수업이 변화하였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수업과 그것들의 변화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사상을 함께 언급하고 있다. 즉, 이들은 혁신학교의 교사로서 가장 우선적이고 필수적인 과업을 수업의 개혁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그 수업의 개혁을 바로 아이들의 변화와 관련하여 실천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그들은 수업 개혁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신감과 효능감까지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자들이 혁신학교의 수업 개혁에 주목하게 된 것은 바로 이 점 때문이다. 물론 전체 혁신학교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성공적이라고 평가받는 혁신학교들에서는 수업을 가장 중요한 학교 그리고 교육의 중심부라 생각하고 있으며, 이에 혁신의 주된 대상을 수업으로 상정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실제 이 수업의 개혁에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다.
사실 수업을 바꾸려는 많은 변화의 시도들은 국가나 학교차원 뿐만 아니라, 교사 개인의 수준에서도 계속되어왔고, 오늘날에도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수많은 시도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수업의 개혁이 쉽지 않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교실 수업에서의 이러한 개혁의 시도는 관련된 다른 부분들에서의 조정과 재구성을 요구하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위 혁신학교에서 수업의 개혁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학교 맥락에서 수업변화와 개혁의 요인에 관한 연구물들은 많다. 특히 우리나라의 상황에 부합하여 수업 개혁의 요인을 언급한 국내연구물들로는 교사의 특정한 변인 혹은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를 밝히는 연구(곽영순, 2010; 신원석, 2011; 고문수, 이대형, 2011), 특정 정책의 영향에 대한 연구(김미숙, 김경근, 2011; 김경년, 김형기, 2012), 교장의 지도성 유형이 교사에게 주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권욱동, 박민수, 2005; 박상완, 윤미숙, 2007; 김영한, 조영식, 2013)등이 있다. 즉, 지금까지의 여러 연구물들에서는 학교 조직 및 구성원 특성, 정책이나 제도, 관리자의 영향, 지역사회의 특성과 같은 요인들의 탐색에 집중하였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세부적이고 미시적인 요인들이 수업개혁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양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수업 개혁을 둘러싼 미시적인 요인 각각에만 너무 초점을 맞추어, 수업 개혁을 둘러싼 주요 거시적인 요인이나 이들 간의 복합적인 작용양상에 대해서 드러내지 못하였다. 게다가 요인들 간의 관계가 수업에 미치는 구체적인 맥락이나 의미는 드러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수업 개혁이 일으키는 주요 거시적인 요인, 그리고 이 요인들 간의 특징적이면서도 일관적인 관계성을 파악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이는 수업의 변화라는 것이 단순히 미시적이고 개인적인 요인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단순한 차원의 변화가 아니라, 학교 더 나아가 교육적 상황의 전반에서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 속에서 총체적으로 이루어지는 변화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앞선 선행 연구물들에 근거하여 혁신학교 수업개혁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상위적 차원의 요인들을 선별하고 이들 요소들이 혁신학교에서는 어떤 맥락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탐색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이것은 수업의 개혁에 접근하는 데 있어 수업 개선이 실제로 일어난 사례들 속에서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를 사례의 맥락을 충분히 주변의 맥락과 함께 이해함으로서 접근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 수업 개선의 정의 역시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될 수 있는 논의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 대상 학교가 수업 개혁을 무엇으로 생각하는지 고찰하는 것 역시 수업 개혁의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필수요건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교사라는 수업변화의 주체를 통해, 즉,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 대상 학교가 생각하는 수업 개혁과 그 요인은 무엇이고, 이 개혁은 일으키는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색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혁신학교에서는 수업 변화의 모습은 어떠한가? 혁신학교에서 수업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은 무엇이며, 이들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라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혁신학교와 수업개혁
최근 우리나라 일부 시도교육청에서는 학교 교육의 개혁과 혁신을 위한 정책들을 새롭게 시행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혁신의 모습 중의 하나가 바로 민주적 자치공동체와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의한 창의지성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형태의 혁신학교를 도입한 것이다. 따라서 혁신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105조인 자율학교 추진 근거에 준용하여 운영된다. 혁신학교는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생들이 맞춤형 교육을 하는 새로운 학교의 틀을 추구하며, 누구든지, 어디서나 자기실현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하고, 입시 위주의 획일적 학교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높여 공교육을 정상화시키자는 취지에서 도입된 것이다. 이에 시도교육청에서는 학교의 개혁을 희망하는 학교를 심사하여 혁신학교로 지정하고, 학교 개혁 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재정, 인사 상의 지원을 하고 있다. 이는 특히 혁신의지가 강한 운영주체에게 운영권을 위탁하고 대폭적인 자율권을 부여함으로써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 방법들을 혁신적으로 운영하는 학교라는 점에서 주된 특징이 있다(http://hyeoksinschool.goe.go.kr).
혁신학교는 학교운영 차원의 혁신과 교육과정 차원의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적 목표로 추구하고 있다(김수경, 2011). 이와 같은 맥락에서 서근원(2013)도 혁신학교의 사업을 크게 행정의 혁신과 교육과정 및 수업의 혁신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행정의 혁신은 기존의 교장 중심의 관료적이고 위계적인 학교 행정 체제가 각종 부조리를 유발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교 제도와 관행을 민주화하는 것이다. 반면에 교육과정과 수업의 혁신은 기존의 교육과정과 수업이 국가와 교사 중심으로 획일화되어 있음으로써, 학생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과정과 수업을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화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정한(1996). 효과적인 학교를 위한 수업 지도성의 과제. 『교육학연구』 34(5). 121-142.
노민구(1994).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행위가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장상호(1994). 교육은 결국 교육에 의해서 개혁되어야 한다. 교육개발. 87, 10-13.
최 훈(2011). 중등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조무남(2004). 교육학론. 학지사.
강현석(2007).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러티브에 의한 수업비평의 지평과 가치 탐색. 교육과정연구, 25(2), 1-35.
소경희(2009). 교사학습(teacher learning)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교육과정연구, 27(3), 107-126.
조영태(2006). 가르치는 일의 본질: 예술로서의 수업. 어린이와 함께하는 국어교육, 8호, 86-98.
곽영순(2010).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 31(4), 403-417.
신원석(2011). ICT 활용 수업 이후 교사의 역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교육공학연구, 27(3), 625-652.
고문수, 이대형(2011). 초임 교사의 체육수업 멘토링을 통한 체육교수의 변화.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2), 43-58.
김미숙, 김경근(2011). 학업성취도평가정책이 단위 학교에 미친 영향. 한국교육학회, 49(1), 93-121.
김경년, 김형기(2012). 영어 수업시수 증배 결정의 맥락과 영어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0(3), 1-27
권욱동, 박민수(2005). 중등학교 행정가의 지도성 유형이 교사들의 사기저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2), 169-182.
김영한, 조영식(2013). 지체장애 특수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조직헌신도의 관계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1), 91-110.
김성천(2011).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서울: 맘에드림
김수경(2011).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145~168.
서근원(2013). 질적연구와 교육의 변혁적 실천: “아이 눈으로 수업 보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인류학회 제 142차 월례발표회 발표문.
이원욱(2011). 연구조사방법의 이해와 적용: 질적 연구와 사례연구 방법. 형설,
장훈, 김명수(2011).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 311-333.
주영효(2006).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교육행적학연구. 24(1). 1-24.
박상완, 윤미숙(2007).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교사의 교직 수행 및 수업간의 관계 구조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1). 93-117.
김흥주, 박재윤, 이석희, 이정아(2005). 학교혁신 지원체계 분석연구. 연구보고RR 2005-7. 한국교육개발원.
허병기(2001).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교육행정학연구. 19(3). 53-77.
한대동(2008).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 사례연구 - 한국과 일본의 시범학교 비교. 『비교교육연구』 18((1). 141-169.
안혜경(2008).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 수업행동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
Duncan, M. J., & Biddle, B. J.(1974). The study of teaching. New York, NY: Holt, Rhinehart and Winston.
Pollard 와 Tann,1993
Yin R. K.(2009). 사례연구방법 4판(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신경식, 서아영 옮김(2011). 서울: 한경사.
Yin R. K.(2012). Applications of case study research(3ed). Thousand Oaks: SAGE.
Merriam S. B.(1998).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ications in education. 강윤수 외 옮김(2005). 서울: 교우사.
Fullan, M. & Hargreaves, A. (1996).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Fullan, M.(200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Hall, G. E. & Hord, S. M.(2005). Implementing Change. Prentice Hall.
Nunnery, J. A., Ross, S. M., & Bol, L.(2008). The construct validity of teachers perceptions of change in schools implementing comprehensive school reform.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nd Policy Studies, 8(1), 67-91.
http://hyeoksinschool.goe.g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