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1
 2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2
 3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3
 4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4
 5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5
 6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6
 7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7
 8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8
 9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기일. 서론
-정다산 민권의식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기이. 본론
일. 정약용의 생애
일>수학시절(출생~1789년, 28세)
이>사환시절(1789~1800, 39세)
삼>유배생활(1801~1818, 57세)
사>향거생활(1818~1836, 75세)
이. 정약용의 민권의식에 대해서
-국정참여 주체로서의 민과 저항권의 용인에 대해서-

삼. 다산 민권의식의 한계에 대해서
-민본의식 속에서의 민권의식-

기삼. 결론
-탕론을 중심으로 본 다산 민권의식의 평가
본문내용
조선왕조의 전근대적 통치체제는 19C 전반기를 거치면서, 그 모순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조선왕조가 근간으로 삼았던 신분제는 이미 그 수명을 다하여서 붕괴하고 있었다. 이 같은 변화는 일반 백성들의 권리의식을 진작시켰다.
우리가 흔히 근대성을 논할 때, 가장 먼저 판단하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신분제’ 에 관한 것이다. ‘신분제’ 는 대다수 민중들의 권리행사가 어떠했는가를 재는 척도이다. 민중의 권리행사가 확대되면 확대될수록, 근대에 가까운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丁若鏞은 조선왕조의 격변기에 태어나 그 변화의 과정을 몸소 겪은 사람이다. 그는 전근대적 통치체제의 모순을 뼈저리게 느낀 사람이었으며, 그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한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제반이론은 당시로는 혁명과도 같은 것이었으며, 그것은 17C 이후 국가재조의 사유에서 나오는 실학을 집대성한 것이기도 하였다. 그는 500여권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저서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으며, 그 안에는 조선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는 거대한 사유가 들어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방대한 저서와 사유 중에서도, 오늘날 비상한 관심을 끄는 것이 바로 ‘湯論’ 으로 드러나는 그의 民權意識이다. 民權意識은 신분제의 붕괴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신분제의 붕괴는 근대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전근대사회에서 民權意識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그 뿐 아니라, 실학을 집대성했다고 평가되는 茶山 丁若鏞의 民權意識을 살펴보는 것은 실학의 성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작업일 것 같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湯論’ 을 중심으로 茶山의 民權意識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조선후기 행정개혁가에 대한 문화론적 이해 : 丁若鏞의 삶을 중심으로. 정재동(고려대 정부학 연구소)
朝鮮後期 實學의 社會倫理的 性格 -茶山 丁若鏞의 社會改革論을 中心으로- 張乘嬉(東國大學校 講師)
丁若鏞의 民權意識과 國民主權論으로의 이행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백철현(인천대 행정학과 교수)
丁若鏞의 자작적(自作的) 인간관과 왕정개혁론 : 조선후기 정치권력의 공공성문제와 관련하여 정윤재(한국정신문화연구원)
丁若鏞의 社會改革 方法論 -法治的 관점에서- 趙允施
조선 후기 개혁사상의 고찰 -정조와 丁若鏞을 중심으로- 배병삼(성심외국어 전문대학)
丁若鏞의 身分制改革論 趙誠乙(연세대학교 박사과정, 국사학)
丁若鏞의 민본의식과 民權意識 金容憲(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丁若鏞의 民權意識硏究 趙 珖

*참고저서*
연세실학총서(연세대학교 출판부)
하고 싶은 말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A+ 보고서입니다.) 아무쪼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