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

 1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
 2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2
 3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3
 4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4
 5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5
 6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6
 7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7
 8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8
 9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9
 10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0
 11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1
 12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2
 13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3
 14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4
 15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5
 16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6
 17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강심리학]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한 사회적지지 구축 프로그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 Mental and Physical health( 정신적, 육체적 건강)
- Physiological effects(생리적 변화)

2. 본 론
- 방 법
A course : Data Base화
B-1 course : Modeling Program
B-2 course : Reality Model


3. 논의 및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사람들은 끊임없는 수많은 관계(Relationship)속에서 살아간다. 아니 살아가야 한다. 누구는 개인적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관계를 지속시키는 것에 능숙하지만, 누구는 오히려 그런 관계를 두려워하거나 관계의 지속에 대한 방법론에 대해 궁금해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그러한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 관계의 지속 또는 긍정적인 방향(특히 사회적 지지를 통한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대한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개인적 차원이라는 것은 사람들 마다 관계를 분류하는 방식도 다를 것이며, 개인적인 성향(외향/내향)에 따라 사회적 관계의 지속 또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이다. Wish, Deutsch, Kaplan의 초기 연구는 사람들이 몇몇 다른 종류의 관계를 평가하는데 있어 4가지 차원이 있음을 밝혔다. 그 4가지 차원은 협동적/우호적 대 경쟁적/적대적, 평등 대 불평등, 열정적인(강렬한) 대 피상적인, 사회정서적인/비공식적인 대 업무지향적인/공식적인 이 마지막 차원은 Marwell과 Hage의 연구에서 이미 발견된 3 차원의 2가지(intimacy와 regulation)를 통합시킨 것으로 보인다. 더욱 최근에 사회학자인 Blumstein과 Kollock는 다섯 가지 차원이 관계 특성 영역을 정의한다고 제안했다. kin(친족) 대 nonkin, sexual-romantic 대 nonsexual-romantic, cohabitating(동거) 대 noncohabitating, hierarchical(계급적) 대 egalitarian, cross-sex 대 same-sex. 대조적으로 Scanzoni와 동료들은 sexually based primary relation이 가장 유용한 분류 구조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그 관계가 친숙함의 좀 더 추상적인 개념과 혼인에 의한 혹은 romantic cohabitation 혹은 다른 삶의 방식의 좀 더 구체적인 구조 간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이라고 그들은 주장했다.
이었다.
왜 우리는 대인관계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가져야 하며, 이것으로 우리가 얻는 유익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정경섭. (1990), '인간관계론', 서울 : 법무사

Michael Argyle. (2001) The Psycho logy of Happiness, 2nd edition : Routledge

Stroebe, W., & Stroebe, M.S (1987). Bereavement and Health. Cambridge

Ushino, B. N., Cacioppo, J.T.,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hysiologica-l processes : a review with emphasis on underlying mu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