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 경학-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1  한대 경학-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1
 2  한대 경학-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2
 3  한대 경학-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3
 4  한대 경학-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대 경학-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대 경학
제국의 논리와 제국의 학문
1. 한 제국의 등장과 경학
한 나라 이후의 유가(儒家) 사상은 중국의 정치 현실을 지배해 온 사상으로 농경문화 중심사회에서 가장 적합한 통치 이념으로 받아 들여졌다. 하지만 유학은 표면적인 정치 이념이고, 중국 역사의 실질적인 힘은 법가(法家)적인 통치였다. 전국시대의 혼란을 대일통(大一統)한 진(秦)의 정치적 실패가 한(漢)의 등장으로 수습된다. 한(漢)은 문치(文治) 유방(劉邦)은 육가(陸賈)의 역취순수(逆取順守: 정권을 잡을때는 어긋나는 방법으로 했어도 다스릴 때는 순리대로 함.)를 인지.
를 내세워 나라를 다스리나, 고(高 )/혜(惠)/문(文)/경제(景帝) 당시는 오랜 혼란의 뒤라 문치(文治)의 여유는 없었고, 단지 황로학(黃老學)의 무위술(無爲術)에 의존하다가 무제(武帝)때 ‘백가를 내몰고 유가만을 높이는’ 파출백가, 독존유술(罷黜百家, 獨尊儒術)
시대가 열린다. 한대 유학에서는 공자의 육적(六籍)을 다듬어 만든 육예(六藝) 시(詩), 서(書), 역(易), 예(禮), 악(樂), 춘추(春秋) 중에 악(樂)은 없어짐.
에 ‘경(經)’자를 붙여 오경(五經)이라 하고, 무제 때까지 차츰 박사를 두었고, 이는 유가가 여러 학파들 가운데 끼어들었다는 의미로 현실 정치에 비로소 적극적으로 접맥이 됨을 의미한다. 이후 유학의 독존은 양한(兩漢) 뿐만 아니라 중국 사상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주게 된다.
유학 경전 속에 담겨진 이론을 이끌어 내어 현실 정치에 응용할 수 있는 방책으로 삼고자 하는 것이 경학(經學)이다. 경학은 경전의 간단한 말 속에 담긴 큰 의미를 밝혀내려는 학문적 작업이다. 그러나 이는 순수한 학문적 욕구에서가 아닌 통치자의 현실적 욕구에 부흥하기 위함이었고, 이에 신구 경학자 간에 갈등이 생겨 상호 배척하게 되는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었다. 경학은 ‘천인삼책(天人三策)에서 시작되어 석거각(石渠閣), 경고문학(經古文學), 백호관(白虎觀)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국헌(國憲)이 되는 타락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경학의 초기 순수한 의도까지 부정해서는 안 된다.
2. 경학의 성립과정과 동중서의 ‘천인삼책’
건원(建元) 원년, 무제는 고금의 왕의 일에 관련된 예에 능한 사람들, 즉 유자(儒者)를 천거하여 문치(文治)를 열어가려 했지만, 대부분 법가의 종횡가(縱橫家)의 인물들이 천거되어 위관(衛)의 건의에 따라 종횡가(縱橫家)의 지식인을 몰아낸다. 건원 5년에는 오경박사를 두지만 백가 황로학 세력이 강해 유가는 아직 훈고 단계에 머물고, 마침내 원광(元光) 원년에 동중서의 ‘천인삼책(天人三策)’을 받고 파출백가, 독존유술(罷黜百家, 獨尊儒術)의 전환을 시도한다. 그동안 휴양생식(休養生息)의 시대를 겪으며 경제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많은 안정을 찾아 무제(武帝)는 진정한 대일통(大一統)을 이루기를 원했으나 사상적인 이념이 부족하였다. 그러다 동중서의 ‘천인삼책’의 등장은 무제의 목적에 정확이 부합하는 대책이었다.
3. 제국적 힘의 논리와 유가적 가치의 결합
동중서의 ‘천인삼책’은 무제가 원하는 ‘대도의 요체’ 와 ‘지론의 극치’에 대한 대책으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1) 인의의 도 - 정치의 근본 이념
동중서에게 있어 올바를 통치의 기본 원칙은 바로 ‘도’이다. 이 ‘도’를 실천할 국체적 도구로 ‘인의예약(仁義禮樂)’을 말한다. 인의(仁義)는 ‘도’의 정신이고, 예악(禮樂)은 실현 방편이다. 그는 공자와 맹자의 인의(仁義)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통치 기본 강령으로 발전시키며 ‘춘추번로’에서는 천의(天義) 또는 천지(天志)를 인(仁)으로 규정한다. 이로써 동중서는 유가의 순수 도덕심을 천의(天義)에 연결 지어 혁신을 꾀하는 신왕들이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소명이라 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