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

 1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1
 2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2
 3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3
 4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4
 5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5
 6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6
 7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7
 8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8
 9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9
 10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삼국유사의 성격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연의 삼국유사 편찬배경과 의도

Ⅲ. 삼국유사의 문헌적 성격

Ⅳ. 의견 및 결론
본문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는 『삼국사기(三國史記)』와 함께 현존하는 한국 최고의 문헌이다. 이 책은 '유사(遺事)’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삼국사기』에서 빠뜨린 것을 끼워 보완한다는 성격을 가진다. 국가의 대사업으로 편찬된『삼국사기』는 방대하고도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역사를 기술하는 태도와 자료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 편찬자의 시각이 지나치게 합리성을 강조하고, 중국 중심적이어서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소홀히 다루거나 왜곡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기존의 역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불교적 측면을 무시하거나 소홀히 다룬 점은 승려인 일연(一然)의 입장에서 수긍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더구나 일연이 이를 저작할 당시는 중국을 지배하게 된 몽골의 침략이 계속되어, 중국에 대한 모화사상(慕華思想)이 비판되고 민족자주의식이 강하게 대두되던 시기였다. 일연(一然)의 저술의도에는 이같은 민족감정이 여실히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삼국사기』에서는 가치가 없다고 제외시키거나 소홀히 다룬 자료들에 대해서 주목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결과『삼국사기』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도 있고, 다르게 기술하거나 해석한 부분도 적지 않게 있다. 이런 면에서『삼국유사』는『삼국사기』와 서로 대조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가진다. 또한 전설 ․ 일화 등 원초적(原初的)인 기록이 풍부하기 때문에 민속학 ․ 국문학 ․ 역사학 등의 여러 방면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삼국유사』는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연구자료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삼국유사』의 올바른 활용을 위해서는 『삼국유사』자체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방향에 맞추어 본 발표조는 『삼국유사』라는 텍스트에 대한 비평을 실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일연 지음. 이상호 옮김. 『신편삼국유사(新編三國遺事)』 신서원. 199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삼국유사(上)』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3
고성봉. 이경식. 『譯解 三國遺事』 서문문화사. 1985
박진태 외.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박이정. 2002
육낙현. 『三國遺事 硏究 論選潗』 백산자료원. 1986
박성봉․ 고경직. 『역해 삼국유사』 서문문화사, 1985
박성규. 「삼국유사의 체제와 문학사적 의의」≪시안≫제 10호. 시안사. 2000
경일남, 「삼국유사소재 찬의 서사문학적 의미」 어문연구학회.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