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서법

 1  [국어문법] 서법-1
 2  [국어문법] 서법-2
 3  [국어문법] 서법-3
 4  [국어문법] 서법-4
 5  [국어문법] 서법-5
 6  [국어문법] 서법-6
 7  [국어문법] 서법-7
 8  [국어문법] 서법-8
 9  [국어문법] 서법-9
 10  [국어문법] 서법-10
 11  [국어문법] 서법-11
 12  [국어문법] 서법-12
 13  [국어문법] 서법-13
 14  [국어문법] 서법-14
 15  [국어문법] 서법-15
 16  [국어문법] 서법-16
 17  [국어문법] 서법-17
 18  [국어문법] 서법-18
 19  [국어문법] 서법-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 서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법의 개념, 범위, 실현양상

2. 국어서법의 종류와 그 특성
1) 직설법 ‘-느-’
2) 회상법 ‘-더-’
3) 추측법 ‘-겠-’
4) ‘-았/었-’
5) 기타 서법형태소

3. 선어말어미 ‘-겠-’과 시상법
1) ‘-겠-’의 의미
2) ‘-겠-’과 시상법 관계

4. 선어말어미 ‘-었-’과 시상법
1) -었-의 형태와 의미
2) -었-의 복합형태소로서의 의미

5. ‘느, 더’ 계열의 어미에 대한 분석
1) 첫째 ‘느’ 계열의 어미
2) 둘째 ‘더’ 계열의 어미
본문내용
1. 서법의 개념, 범위, 실현양상
‘서법’은 그 동안의 많은 논의와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개념 정의와 하위범주가 학자들마다 다르다. 대부분의 논자들이 원용하고 있는 서법의 개념에 대한 이론은 아마도 Jespersen일 것이다. Jespersen(1924)은 서법을 “화자가 문장의 내용에 대해 가지는 마음의 태도가 일정한 활용형으로 실현되는 현상”으로 정의하고, 직설법, 가상법, 명령법으로 하위구분을 하고 있다. 생성문법에서는 진술, 의문, 명령, 감탄 따위를 포함시키기도 한다.
최현배(1937)는 화자와 청자의 주고받는 관계를 서법이라 하여 베품꼴, 물음꼴, 시킴꼴, 꾀임꼴 등 동사의 종결어미로 실현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홍배(1971)는 월(문장)의 기저구조를 ‘S→ NP VP Mood(법)' 라 설정하고 진술, 의문, 명령, 제안 등의 월 유형을 결정하는 맺음씨끝(어말어미)를 서법의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다.
남기심(1972)은 종결어미로 나타나는 의도, 필연성, 추측 등을 모두 서법에 포함시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고영근(1976, 1981, 1986)은 서법 범주를 직설법, 회상법, 추측법, 원칙법, 확인법, 감동법 등을 설정하고 이들 범주는 선어말어미에 의하여 실현된다고 보고 있다. 고영근이 선어말어미에 의해서만 서법이 표현된다고 한 것에 반해 김일웅(1993)은 서법을 맺음씨끝(어말어미)와 안맺음씨끝(선어말어미)로 표현되는 것으로 보았다. 서정수(1886)도 역시 종결어미와 선어말어미를 모두 서법으로 포괄하고 서법을 들을 이에 대한 말할 이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문말 형태와 문장 내용에 대한 말할이의 태도를 나타내는 선행 문말 형태로 하위분류하였다.
참고문헌
고영근 (2004),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김동식 (1988), “선어말어미 {느}에 대하여”, 한남대학교 언어 13.
김일웅 (1993), “한국어의 서법 - 서법의 개념과 하위범주 -”, 우리말 연구 3.
김종태 (1991), “국어 안맺음씨끝의 문법범주와 체계 -시제, 상, 서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19.
나진석 (1965), “국어 움직씨의 때매김 연구”, 한글134.
나진석 (1972), 『우리말의 때매김 연구』, 과학사.
남기심 (2001),『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목정수 (2000), “선어말어미의 문법적 지위 정립을 위한 형태 ․ 통사적 고찰
었, 겠, 더를 중심으로“, 언어학 26.
민현식 , “국어의 시상과 시간부사-시제, 상, 서법의 3원적 해석론-”, 국어교육69.
박덕유 (1999), “현대국어의 상, 시제, 서법에 관하여”, 선청우문 27.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1990), 『國語硏究 어디까지 왔나』, 서울: 동아.
서정수 (1978), “‘ㄹ것’에 대하여 ‘겠’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국어학 6.
송창선(2003), “현대국어 ‘-었-’의 기능 연구 - ‘-었겠-, -었더, -었었-’을 중심으로”,
언어과학연구 27.
안상준 (1981), “國語詩想法의 一斑 - 先語末語尾 를 中心으로”, 西江語文 第1.
양태식 (1979), “서법 논의에 대한 몇 가지 문제”, 수련어문논집 7.
이경애 (1984), “-겠-의 의미”, 국어국문학22. 임홍빈 (1998), 『국어문법의 심층 1』, 태학사.
장경희 (1995), “주제 토론회 - 국어의 시제, 상 및 서법 : 국어의 양태범주의 설정과
그 체계”, 언어 20.
최동주 (1996), “선어말어미 {-더-}의 통시적 변화”, 언어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