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

 1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
 2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2
 3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3
 4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4
 5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5
 6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6
 7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7
 8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8
 9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9
 10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0
 11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1
 12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2
 13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3
 14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4
 15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
  • 2017.02.11
  • 15페이지 / hwp
  • 2,000원
  • 6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도분석 -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절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주요 접근법 - 신제도주의]

I. 사회현상의 연구방법론 - 신제도주의

● 사회현상: 공식, 비공식적인 규칙이 가하는 완전하지 않은 제약(soft constraint)하에서 개인들이 행동을 결정하는 ‘규칙에 매인 관계’ 혹은 ‘준인과적(準因果的, quasi-causal) 관계’

● 해석주의 사회과학(interpretative social science)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규칙과 개인의 의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현상은 개인들의 단순한 ‘행위(behavior)’의 결집의 결과가 아니라 개인들의 ‘의도적인 행동(intentional action)’이 결집된 결과
그러나 반실증주의(anti-positivistic)이고 반계량적(anti-quantitive)이므로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관찰과 기술을 위해 실증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함

● 실증주의적 사회과학
사회현상이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회현상에 대한 통제(control)와 개선가능성을 신봉하는 ‘사회공학적 사회과학(social engineering view of social science)’ 야기
그러나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이 자연현상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사회현상(social phenomena)’이므로 실증주의는 인간의 행태만을 피상적으로 관찰하여 사회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분석을 하지 못하고 통제도 어려울 것이라는 비판

● 제도주의 접근(institutional approach)
인간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규칙에 대한 연구
전통적 제도주의: 공식적인 정치 사회제도에 대한 기술적(descriptive)인 경구에 치우쳐 제도 안에서 활동하는 인간의 유인구조 파악에 도움을 주지 못함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 제도와 개인의 행태 사이의 관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