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

 1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
 2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2
 3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3
 4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4
 5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5
 6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6
 7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7
 8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8
 9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9
 10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0
 11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1
 12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2
 13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3
 14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4
 15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5
 16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6
 17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7
 18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8
 19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19
 20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 중학교 뉴 스포츠 수업 참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수업만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논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변인 및 가설
4.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뉴 스포츠의 이해
2. 재미요인의 이해
3. 수업만족의 이해
4. 또래관계의 이해
5.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절차
4. 자료처리

Ⅳ. 결과 및 논의
1. 결과
2. 논의

V. 결론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청소년기는 성인으로의 역할을 준비하는 단계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 및 발달과정을 경험한다. 근래의 청소년들은 학교, 학원, 과외 등 교육의 과열화 속에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더불어 불균형적인 신체발달로 비만과 각 종 질병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컴퓨터와 TV, 인터넷, 온라인 게임, 스마트폰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여 정기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이 나날이 감소하고 있다. 기존의 학교 체육교육과정 또한 운동 기능이 미숙한 학생과 다수의 여학생 등 체육활동을 기피하는 학생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전통적 스포츠 종목 위주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김재복, 2012).
이러한 현실은 학생들로 하여금 신체 활동을 통한 즐거움보다는, 오히려 체육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 줌으로써 체육은 재미없고 가치가 없으며 지루한 과목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게 되었다(강동구, 2013). 기존 체육 수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7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그 동안의 운동기능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신체 활동의 가치를 추구하는 교육과정 기본 철학의 전환을 바탕으로 체육교육의 내용을 건강·도전·경쟁·표현·여가활동으로 통일하여 일관성과 연계성을 유지하였고, 학교 현장의 상황에 맞게 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 방법 및 평가 등에서 자율성과 효율성을 강화하였다(강신복, 2007).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근대스포츠 종목의 기능중심 교육에서 신체활동의 가치에 중심을 두는 교육으로 전환 된 것이다. 즉, 건강활동, 도전활동, 경쟁활동, 표현활동, 여가활동 등으로 분류하여 기존에 국가수준에서 결정하여 교사가 따르는 하향식 교육과정에서 상향식 교육과정으로 바뀌었다(유정애, 2005). 이와 같은 교육과정에 부합될 수 있는 스포츠 유형으로 최근 학교 및 생활체육 현장에서 건강과 도전 그리고 여가능력의 개발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활동으로 부상되고 있는 것이 뉴 스포츠이다.
참고문헌
강동구(2013). 뉴 스포츠 체육수업의 유형별 참여가 체육수업 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신복(2007). 2007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분석. 스포츠과학리뷰, 1(2), 1-12.
강윤경(2012).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강창곤(2003). 여고생의 체육수업 참가동기가 체육수업 기피요인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8(2), 145-160.
고거진(2003). 중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성배, 지용주(2010). 청소년들의 스포츠참여 몰입경험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177-188.
구창모(2000).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청소년전문정책연구, 1-74.
권순석(2001). 체육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에 따라 중학생의 체육 수업만족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권이종(2001). 현대사회와 평생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권진규(2007). 고등학생의 뉴 스포츠 참여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스포츠 참여의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길대천(2010). 중학생의 체육수업 참여동기와 만족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김계숙(1992). 인간성장발달과 건강. 서울: 신광출판사.
김대한(2014). 방과 후 뉴 스포츠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김병준(1999).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재미 및 스트레스 요인.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0(2), 193-209.
김병준, 성창훈(1997).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 이해(Ⅰ): 스포츠 재미거리. 한국스포츠심리학회, 8(2), 43-60.
김병천(1992). 청소년 여가와 비행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김재복(2012). 뉴 스포츠 종목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여고생들의 신체활동가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재필, 임성호(2015). 방과 후 뉴 스포츠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와 운동 지속과의 관계에서 수업 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3), 111-125.
김정기(2007).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에 대한 요인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지혜(2010). 청소년의 정서지능,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김택호, 김인규(1999). 청소년의 또래관계 실태분석.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36, 한국청소년상담원.
김호민, 이동준(2007). 고등학교 체육수업 재미와 수업만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학회지, 16(3), 27-36.
남상우(2001). 고등학생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노수현(2002).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류태호(2006). 뉴 스포츠의 이해와 실천. 서울: 무지개사.
류태호, 이병준(2006). 뉴 스포츠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3(1), 67-81.
박미림(2016). 방과 후 스포츠 활동을 통한 즐거움이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세준(2014). 자전거타기 재미요인과 체육수업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찬규(2006). 스키 및 스노보드 강습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과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1(2), 27-37.
박혜연(2006). 중학생의 체육수업동기가 체육수업태도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백광, 김응준(2010). 중학생들의 스포츠참가에 따른 사회성발달과 또래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1), 389-398.
백성수(1999). 체육수업 상황에서의 재미 촉진 및 저해요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변은영(2004). 중학생의 체육수업 인지도와 수업만족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창훈, 백성수(2000). 중학교 체육 수업의 재미 촉진 요인과 저해요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7(1), 153-171.
송 호(2010). 체육교사 지도유형이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오광수(2012).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정애 외(2005).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정이(2011). 여성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지혜(2010). 뉴 스포츠의 재미요인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효준(2001). 중·고등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강현(2008).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이병준(2006). 이해중심 게임수업의 이해와 적용. 우리체육, 1, 28-29.
이상훈(2008). 중학생의 스포츠참가가 사회성발달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석인, 김대한, 박수현(2011). 뉴 스포츠 수업이 초등학생의 기초체력과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9(1), 89-97.
임우택, 김영재(2006). 대학 스포츠 동아리 학생들의 재미요인이 활동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265-272.
임정하(1996). 아동이 지각한 또래관계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장문연(2004). 여성의 사회무용 활동의 재미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전라남도교육연수원(2007). 초등 체육과 직무연수 : 2007. 7. 30 ~ 2007. 8. 9. 담양: 전라남도교육연수원.
전신옥(2008). 뉴 스포츠 참여 중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체육수업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아현(2015). 중학생의 뉴 스포츠 수업참여에 따른 체육수업만족이 학교생활만족도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정현아(2015). 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와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지선주(2000).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여가활동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최미리, 김병준(2008). 배드민턴 선수와 지도자 행동일치로 예측한 내적동기 및 자기 효능감.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9(2), 169-184.
최장경(2002). 대학생의 교양체육에 대한 인식과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협회(2000). 레크리에이션 지도서. 서울: 대경.
한국 뉴 스포츠협회(2014). 뉴 스포츠의 이해. 서울: 21세기사.
홍대식(1992). 인간관계의 심리. 서울: 영양학.
Azmitiu, M. (1988). peer interaction and problem solving : when are two heads better then one? Child Development, 59(1), 87-96.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FranCisco: Jossey - Bess.
Csikszentmihalyi,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c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Csikszentmihalyi, M. (1993). The evolving self. New York: Harper & Row.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
Hartup. W. W. (1992). peer relation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 hand book of social development. NY: Plenum press.
Hashim, H., Grove, J. R.m & Whipp, P. (2008). Validating the youth sport enjoyment construct i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9(2), 182-194.
Izard, C. E. (1991). The psychology of emotion. New York: Plenum.
Kohlberg, L. (1972). Stage and sequence : The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to socialization. In D. A Gosin.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