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

 1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1
 2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2
 3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3
 4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4
 5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5
 6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6
 7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7
 8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8
 9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9
 10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10
 11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11
 12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12
 13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13
 14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사] `현실과 발언`의 작품속에 표현된 ‘현실’ 그리고 ‘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1980년대 ‘새로운 미술’의 탄생
Ⅱ. 의 결성 및 전개
Ⅲ. 의 이념- ‘현실’ , ‘발언’ 그리고 소통
Ⅳ. 작품속에 표현된 의 이념
1. 산업사회의 현실
(1) 상품소비사회․상업문화 그리고 소실된 인간성
(2) 농촌과 도시
2. 정치적 현실
(1) 남북 분단문제
(2) 광주항쟁과 군부독재
(3) 반미
3. 미술계의 현실
(1) 미술신화의 파괴
(2) 국내 미술교육 문제
(3) 한국의 현대미술과 미술비평
4. 일상에 대한 주목
Ⅴ. 의 성과와 한계
Ⅵ. 결론
본문내용
1950년대 이승만의 독재를 무너뜨린 4.19로 인해 한국에서 민주주의의 길이 열리는 듯 했다. 그러나 5.16 군사 쿠데타가 터지면서 한국은 다시 독재의 그늘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박정희 정권은 급속한 경제 성장 위주의 산업화 정책과 강력한 군사 독재 정치를 펼치며 수많은 인권 탄압을 자행했다. 이러한 살벌한 상황 속에서 인권 수호와 민주화를 부르짖는 것은 자살 행위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1969년 3선 개헌 반대를 시작으로 대중들은 민주화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1970년 대 초반 청계천 피복 노동자 전태일의 분신과 광주대단지 사건 등과 같은 하층 계급의 저항은 민주화에 대한 요구를 한층 심화시켜 주었다. 김인걸, 『한국현대사 강의』, 돌베개, 1998, p.309

이러한 민주화의 요구에 발맞춰 1970년대 문화계에서는 문화운동이 나타나게 된다. 이는 문학을 중심으로, 문학에서의 논의부터 전개된 운동으로서 연행예술 이 용어는 민중연극(마당극, 민속극), 탈놀이, 대동놀이(탈놀이, 농악, 판소리등을 합친)등의 개념을 모두 포괄해서 사용된다. 조항제, 「한국의 민중문화 현상에 대한 고찰」, 서울대대학원석사논문, 1986, p.98
- 그 중에서도 민중연극과 탈춤을 중심으로한-, 노래, 영화등의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 역사의식과 사회의식을 구현하는 새로운 문화이념으로 자리잡게 된다. 특히 1970년대 문학계에서 대두된 ‘순수와 참여’에 관한 논의는 현실참여적이고 사회비판적인 사실주의 예술경향을 낳게 된다. 이러한 격변하는 사회적 문화적 흐름 속에서 국내 화단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을까? 해방이후 국내 화단은 크게 두 가지의 흐름속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일제 시대의 선전에서부터 계속되어온 심미주의적 경향의 미술과 앙포르멜, 국제주의 그리고 현대주의를 지향하는 형식 실험의 미술경향이 그 것이다. 이러한 국내 화단의 전개 양상 속에서 1975년 ‘에꼴 드 서울(Ecole de Seoul)’을 구심점으로 형성된 모노크롬은 ‘예술을 위한 예술’의 결정체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