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

 1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1
 2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2
 3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3
 4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4
 5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5
 6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6
 7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7
 8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8
 9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9
 10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10
 11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11
 12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12
 13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사] 1960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 정체성과 현대성이라는 60년대 화단의 과제
2. 화단의 상황
1) 서양화단의 앵포르멜 경향
2) 한국화단의 움직임
3.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
1) 수묵의 조형적 특성 탐구
2) 재료와 소재의 실험
4. 결 론 - 60년대 추상경향과 한국화에서의 논쟁점들
본문내용
해방이후 한국화는 정체성과 현대성이라는 문제에 사로잡혀 있었다. 한편 1960년대 초반은 급격한 변화의 시기였다. 굳이 4․19를 들지 않더라도 당시 우리나라 현대사가 겪고 있을 변화의 과정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시기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의 화단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서구미술의 유입이 진전되었으며 근대적, 전문적 미술교육을 받은 화가들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6․25 전후 50년대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미술계의 변화를 위한 집단적인 노력이 시작된다. 이는 주로 지금껏 정착하지 못하던 추상미술의 추구라는 양상을 보이는 점에서 흥미롭다. 특히 외국 문물에 관심이 많았으며 혁신의 선두주자였던 젊은 미술가들은 국전에 대해 반발하면서 집단적 추상미술 운동을 이끌었고 반(反)아카데미즘의 실험을 시도했다. 이러한 추상적 경향은 1957년 ‘현대미술가협회’의 앵포르멜이라 불리는 격정적 화풍뿐만 아니라 1960년을 전후한 한국화단에서도 일어나게 된다.
참고문헌
김병종,「지금 이 작가는-서세옥」,『가나아트 1․2 합본집』, 1996.
김영나,『20세기의 한국미술』, 예경, 2001.
문명대,「韓國繪畫의 進路問題」,『空間』, 1974. 7.
박용숙․이구열,「동양화, 현황과 전망」,『계간미술』1호, 1976.
서성록 외,『한국추상미술 40년』, 재원, 1997.
서울미대 동양화과,「서세옥 교수 고별강연」,『조형』17호, 1994.
선재현대미술관,『한국현대미술 초대전』, 선재현대미술관, 1991.
송수남,『한국화의 길』, 미진사, 1995.
신영상,「문살을 주제로 한 작품전」,『조형』11호, 1988.
오광수,『이야기 한국현대미술․한국현대미술 이야기』, 정우사, 1998.
―――,「한국화란 가능한가」,『공간』, 1974.
―――,『현대한국회화』, 호암갤러리, 1992.
이구열,『근대한국회화의 흐름』, 미진사, 1988.
이숙영,「현대 한국화의 추상적 경향」, 전북대 석사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