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

 1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
 2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2
 3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3
 4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4
 5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5
 6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6
 7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7
 8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8
 9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9
 10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0
 11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1
 12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2
 13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3
 14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4
 15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5
 16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6
 17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7
 18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8
 19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19
 20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작품 지도론] 박목월의 나그네, 이별가 시의 교육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작가의 생애

2.작가의 시적 세계

3. 목월 시의 연구사

4. 작품분석

5.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1.작가의 생애
목월(木月) 박영종(朴泳鍾)은 1916년 1월 16일 경남 고성에서 아버지 박준필(朴準弼)과 어머니 박인재(朴仁哉) 사이에서 2남 2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 그곳에서 세 살 때 까지 살다가 경주로 이사하였다. 이와 같이 목월의 시에 지속적으로 작용했던 자연에 대한 탐구는 집 근처에 위치한 신라의 고도 경주에서 어릴 때 자라면서 받은 영향으로 생각된다. 목월은 모량리에서 건천보통학교를 다녔다. 1930년 목월은 대구 계성중학교에 진학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문학에 큰 관심을 기울이면서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33년 17세의 나이로 동시 「통딱딱․통딱딱」을 《어린이》잡지에, 「제비맞이」를 《신가정》지에 발표하였다. 어린 나이에 목월은 영종이라는 본명으로 동요작가로서 데뷔했던 것이다. 1935년 계성중학교 4년제를 졸업하고는 경주금융조합에 취직해 있다가 1938년 유익순(劉益順)과 결혼했다. 1939년에 경주금융조합에 재직중 정지용의 추전으로 《문장》지 9월호에 「길처럼」, 「그것은 연윤이다」가 1회추천, 12월호에 「산그늘」이 2회 추천되었다. 그 후 1940년에 이르러 《문장》지 9월호에 「가을 어스름」과 「연윤」이 3회 추천 완료됨으로써 문단에 정식 데뷔를 했다. 1941년에는 금융조합을 휴직하고 두 번이나 일본으로 공부하러 갔으나 문학은 홀로 공부하는 것이 올바르다는 믿음 끝에 귀국하고 말았다. 그는 귀국 후에도 암흑기로 평가되는 시대에 계속적으로 시를 창작한다. 해방이 되면서 목월의 시작 활동은 본격화되기 시작하는데 1946년에 김동리․서정주 등과 함께 조선 청년 문학가 협회를 결성하였으며, 이해 조지훈․박두진과 함께 3인시집 『청록집』을 간행했다.
참고문헌
홍희표 (2002) 「목월시의 형상과 영향」 (새미)
김영철 (2001) 「현대시에 나타난 지방어의 시적기능 연구」 (건국대 논문)
이구철 (1982) 「朴木月硏究」 (원광대 석사학위 논문)
오세영 (2003) 「한국 현대 시인 연구」 (월인)
상허학회 (2003) 「새로 쓰는 한국 시인론」 (백년글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