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1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
 2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2
 3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3
 4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4
 5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5
 6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6
 7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7
 8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8
 9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9
 10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0
 11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1
 12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2
 13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3
 14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4
 15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5
 16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6
 17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7
 18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8
 19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9
 20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교육계열
  • 2004.01.06
  • 40페이지 / hwp
  • 4,600원
  • 138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국어교육] 라디오매체언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라디오 매체의 특징
- 매체 선정 기준과 이유
- 분석한 프로그램의 소개와 분석기간
- 한계

Ⅱ. 본론
1.방송언어 오용 사례
(1) 음운
(2) 어휘
(3) 문장
2. 프로그램 진행자들 사이의 차이점
(조사한 프로그램의 진행자들과
정지영 아나운서 언어의 차이점)
3. 라디오 언어의 문제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라디오 매체의 특징

TV 등 영상 매체의 등장으로 라디오가 사양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라디오의 사회적 역할이나 중요도의 감소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라디오는 TV와 달리 시공간의 제약 없이 청취자의 일상 속에서 일 대 일로 경험되고, 대자본의 집중 없이도 설립, 운영이 가능한 상대적이나마 권력과 자본의 통제로부터 자유로운 매체라는 특성을 지닌다. 또 마이너 매체로서 다양한 계층, 집단의 이해를 반영하고 청취자 참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권력분산, 지방화, 다양화, 전문화의 시대에 맞는 민주적 매체로서의 가능성도 지적되고있다. 그러나 우리의 라디오는 아직 이런 가능성을 발휘하지 못한 채, 단지 십대 중심의 상업적 대중 문화의 단순 고리로 기능 하거나, 모순 없는 일상에 대한 이미지를 재생산해 내 지배 구조를 공고히 하는 이데올로기적 기구로서만 존재하고 있다.

라디오는 일반적으로 TV와 유사한 성격을 보이나, 결정적으로 영상이라는 차이점으로 인해 몇 가지 차이를 보인다. 우선 라디오는 TV보다 오래되었고 그만큼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TV가 객관적이며 '차가운 매체'라고 비유하며, 이에 대해 라디오는 '뜨거운 매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영상의 유무로 생긴 특징인데, 라디오는 순전히 듣는 청자의 상상력에 의존해야 하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TV에 비해 더 감정적이고 주관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라디오는 듣는 대상을 '청취자'라고 한다. 이것은 보고 듣는 시청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이 대상의 호칭을 보아도 매체의 특성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강승구 외, 『미디어 비평과 미디어 윤리』(한나래, 1999)
국립국어연구원, '방송 언어 오용 실태 조사', 국립국어연구원(2000)
국립국어연구원, '방송 언어 오용 사례', 국립국어연구원(2001)
김대행,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1998)
김동규 외, '현대 미디어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2001)
김만용, 『뉴 미디어 시대의 방송문화』(동아, 1991)
민현식, '특집 : 국어화법과 방송언어 ; 방송언어론', 한국화법학회.(1999)
박갑수, 『한국 방송언어론』(집문당, 1996)
박인기,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三知院, 2000)
연규동, '한글 맞춤법을 다시 읽는다', 한국 언어학회(언어학).(1997)
이응백, 『放送과 言語』(一潮閣, 1995)
임천택, '국어교육을 위한 매체와 매체 언어 탐구', 한국국어교육학회.(2001)
전병용, 『매스 미디어와 언어』(청동거울, 2002)
최창섭, 『미디어 교육론』(나남, 1985)
편집부, '이달의 방송 : 언어문화를 잠심하는 방송언어 - YMCA 시청자 모임', 한국논단.(1992)
韓國放送公社,『放送言語硏究論叢』(韓國放送公社,1988)
한국화법학회, 『국어화법과 방송언어』(한국화법학회,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