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

 1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1
 2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2
 3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3
 4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4
 5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5
 6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축디자인 방법론] 생활과 건축 공간 - 한옥 살림집, 학사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활과 건축 공간

2. 한옥 살림집, 학사재(學思齋)

3. 학사재의 의미

본문내용
1. 생활과 건축 공간
건축공간은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건축공간이 기본적으로 셸터(shelter)의 의미를 갖는다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더라도, 건축공간은 단순한 조형물이나 예술 작품이 아닌 인간의 삶을 지어내는 공간이며 또한 생활은 건축공간을 만들어 내고, 요구를 만들어 낸다.
건축계획이란 생활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을 충족시키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과거 한옥을 설계할 때, 현재보다 더 건축에 관심을 두는 건축주의 참여와 적극적인 반영을 생각해보면 이런 과정은 과거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에서는 건축공간이 거대해지고, 건축주도 그 계층이 다양하고 복잡해지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건축 계획 분야에서 프로그램 분석이 더욱 강조 되고 있다.
한편, 건축가라는 존재가 생겨나기 시작한 시절부터, 건축가의 사고와 컨셉을 따르는 건축은 존재했다. 특히 근대의 유명 건축가들의 작품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건축이론들은 이를 보여준다. 이는 건축주의 요구에 단순히 대응하기 보다는 새로운 사회상, 요구를 이끌어 내는 입장을 보여준다.
이처럼 건축 공간을 계획하는 방식을 살펴 볼 때, 크게 ‘생활 요구 대응형’과 ‘생활 유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건축은 하나의 단순한 작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건축공간은 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생활요구 대응형 이든 생활 유도형 이든 어느 한쪽이 강조된 건축계획이라 하더라도 그 공간은 결국 사용자와 함께 시간을 가지면서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