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1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
 2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2
 3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3
 4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4
 5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5
 6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6
 7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7
 8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8
 9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9
 10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0
 11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1
 12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2
 13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3
 14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4
 15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판타지문학]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과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판타지 일반

2.1. 판타지의 역사
2.1.1. 1단계 - 환상의 도입기
2.1.2. 2단계 - 초창기 판타지
2.1.3. 3단계 - 본격적인 환상문학의 발전기
2.1.4. 4단계 - 20세기 초의 미국: 코스믹 호러와 히로익 판타지

2.2. 판타지 장르에 대한 비평과 그 옹호
2.2.1. 사실주의적 관점에서 본 판타지
2.2.2. 판타지를 통한 현실의 재발견

3. 작품으로 살펴보는 판타지 장르의 가능성
3.1.『반지의 제왕』에서 보여주는 판타지 문학의 가능성
3.1.1. 톨킨 판타지의 과거 지향성
3.1.2. 문헌학적 판타지로서의 『반지의 제왕』
3.1.3. 『반지의 제왕』의 주제의식

3.2.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보여주는 판타지 영화의 가능성
3.2.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2.2. 작품의 문화적 배경과 독특한 캐릭터
3.2.3.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주제 의식

4. 우리나라 판타지 장르의 실태

5. 결론
본문내용
판타지의 예술적 가능성 :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1. 서론 : 판타지 일반

첨단 디지털 시대에 문학 작품은 새로운 세대로부터 외면당하거나, 원작보다는 영화나 만화, 또는 텔레비전 드라마나 뮤지컬로 각색되어 읽히고 있다. 문학을 통해 삶에 대한 성찰과 존재에 대한 고뇌, 그리고 인간관계와 외국문화를 배우던 시대에서, 꼭 문학이 아니어도 다른 매체를 통해 얼마든지 그런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시대로 변한 것이다. 문학작품을 통해 재미와 감동을 얻던 것도, 영화, 만화 혹은 게임 등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의 디지털 세대도 판타지 소설을 읽는 경우가 많다. 최근 들어 판타지 문학이 새로운 문학양식으로 부상하게 되었고, 엄청난 독자층이 형성되어 한때는 천문학적인 판매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에 따라 새로운 작가들이 탄생했고 그들은 곧 젊은 세대들의 인기스타가 되었다. 판타지 소설이 인기를 끌게 된 데에는, 우선 그것이 디지털 세대들이 좋아하는 컴퓨터 게임과 비슷하고, 다음으로는 환상적이고 재미있기 때문일 것이다. 환상소설의 그러한 특성은 곧 찰나적이고, 골치 아픈 것을 싫어하며,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이야깃거리를 찾는 디지털 세대의 취향에 꼭 들어맞는다.
사실 판타지 소설보다 더 대중적으로 인기를 끈 것은 판타지 영화이다.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같이 기존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들이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하였고,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참고문헌
김문선, ‘미디어 변화에 따른 판타지 장르 연구: 디지털 미디어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2002.
김성곤, “퓨전 시대의 새로운 문화 읽기”, 문학과사상사, 2003.
김용석, “깊이와 넓이 4막 16장: 해리포터에서 피버노바까지”, 휴머니스트, 2002.
송병선, ‘환상문학과 21세기: 미래의 글쓰기를 위한 제안’, “인문논의” 제 21호, 2002.
이도흠, ‘신화와 판타지 - 해방의 출구인가, 억압의 장인가?’, “문학과 경계” 통권 4호, 2002.
우달님, ‘판타지의 효용: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에 나타난 언어와 환상의 결합’, 경희대 대학원, 2002.
황국명, ‘90년대 소설의 환상성, 그 상상력의 모험’, “외국문학”, 1997년 가을호.
황상훈, 사이버 문학과 판타지, 문학과교육 15, 2001.
야마나카 야스히로, “해리포터와 치히로 세대의 요즘 아이들”, 김은진 역, 사람인, 20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