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

 1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
 2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2
 3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3
 4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4
 5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5
 6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6
 7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7
 8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8
 9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9
 10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0
 11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1
 12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2
 13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3
 14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4
 15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5
 16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6
 17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7
 18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8
 19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인론]詩魂의 승화와 서정적 융화 - 소월시에 나타난 恨의 서정 양식적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님'의 대칭과 원형성
(1) 대리 대상으로서의 '님'의 형상화
(2) 삶과 죽음의 동일화
2. '님'의 초월성과 시혼의 본질
(1) 초월적인 '님'과 '자연'의 서정적 융화
(2) 대리물을 통한 융합
(3) 시혼의 특성과 내면성
본문내용
소월 시에 있어서 아픔이나 슬픔을 이완하고자 할 때는 그 구제 방법을 대리 대상으로 이완시킨다. 돌이킬 수도 없고, 환원되지 않은 상실되어버린 사랑을 대상물을 통해 가라앉게 하고 의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스스로의 짓눌린 무게를 외적인 것에 투사해 자신의 의중을 극복하고 싶은 보상 심리작용이기도 하다.
그래서 신화에서는 영적인 환생물인 새의 이미지를 영혼을 인도하는 자연생명체로 해석한다. 하늘의 상징성은 영원, 초월, 구원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것이어서, 새는 시인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代理對象으로 성취 욕구를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새를 통해 사라진 '님'과 가까이 하고 싶은 심리를 들어낸 「자전차」를 보면 '님'을 향한 소월의 갈망이 자연적 순환의 원리 속에서 미화됨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의 이해』, 일지사, 1973.
김준오, 『시론』, 삼지사, 2005.
김학동, 『김소월』, 서강대 출판부, 1988.
외 15권
2. 연구논문
김남조, 『예전에 난 미처 몰랐어요 와 슬픔의 의미』, 김소월 연구, 새문사.
김동리, 「청산과의거리』,감동욱편, 김소월, 1980.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외 14편
하고 싶은 말
‘한(恨)’을 소재로 시를 쓴 시인하면 ‘김소월'을 떠올릴 정도로 우리에게 김소월의 시 세계에서는 ’한(恨)‘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김소월의 시 세계를 ’한(恨)‘과 ’님‘의 형상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