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

 1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
 2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2
 3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3
 4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4
 5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5
 6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6
 7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7
 8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8
 9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9
 10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0
 11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1
 12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2
 13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3
 14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4
 15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5
 16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6
 17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7
 18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8
 19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19
 20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커뮤니케이션] 인터넷과 지식 생산 그리고(디지털) 지식 권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식생산의 역사와 지식의 의미변화

1.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 시대
- 유일신 사상의 쇠퇴와 인쇄술
2. 합리적 방법론의 출현과 과학 혁명의 시대
-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 제시
3. 전문화된 지식과 산업혁명시대
- 산업 생산량 증대의 원동력

Ⅱ. 지식권력의 의미

1. 지식권력의 구축
2. 지식은 왜 권력이 되는가?
3. 지식권력은 자본주의 하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는가?

Ⅲ. 오늘날 지식 의미변화, 디지털 권력
1. 지식의 의미 변화

2. 신 지식권력 출현
1) 새로운 지식담론의 형성 : 인터넷 공론장과 디지털 권력

3. 지식의 유통 변화
1) 네이버 지식검색
① NHN(주)-네이버 연혁
② 지식검색의 장점
③ 지식검색의 문제점
4. 인터넷의 현주소와 문제제기

[문제제기1] 인터넷 강국은 지식강국인가? : 지식의 질적인 문제
[문제제기2] 인터넷 지식공간을 이용한 인간의 지식 무한생산 가능한가?

5. 인터넷 지식이 나아가야할 방향
1) 구글의 혁신과 성공
2) 한계점 및 전망
본문내용
Ⅰ. 지식생산의 역사와 지식의 의미변화 이필렬 외, 「과학 우리시대의 교양」, 서울 : 세종서적, 2004, P.32


지금 이 시대에 와서는 ‘지식은 힘이다’라는 명제가 참이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그다지 없을 테지만, 인류 역사상에서 폭력이 지식을 지배한 때도 분명 있었다. 이 때는 가장 큰 물리력을 동원할 수 있는 자가 권력의 정점에 설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지식이 물리력을 몰아내고 마침내 권력의 최상단에 서기까지 어떠한 일이 있었을까.

1.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 시대
▶유일신 사상의 쇠퇴와 인쇄술

1453년, 동로마제국이 멸망함으로서 중세의 암흑기는 그 긴 세월을 마쳤다. 그리고 1470년대에 이르러서는 구텐베르크가 40년대에 발명한 인쇄술이 30년 만에 큰 빛을 발하여, 성경이 서양세계에 널리 보급되었다. 성경이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자, 이전에 성경을 해석할 권한을 독점하고 있던 성직자들과는 다른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종교개혁, 1520년대를 휩쓴 대폭풍이다. 알프스 이북이 종교개혁의 홍역을 앓고 있는 동안, 알프스 이남에서는 바야흐로 르네상스가 시작되어 근대 과학이 태동하기 시작하였다. 르네상스의 계기는 아이러니하게도 중세 시대, 최악의 사상 지배로 인해 촉발되었던 십자군 원정이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이슬람 문화의 지식이 유럽에 유입됨으로서 과거 그리스식 합리성이 부활하게 된 것이다.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는 지식 그 자체의 정의를 바꾸었다. 앎의 유일한 잣대였던 성경은 그 위상이 격하되고 사회 과학과 자연 과학의 합리성이 지식 그 자체를 정의해 나가기 시작했다. 지식 생산의 주체가 성직자에서 학자로 변화하고 지식 권력이 혈통 권력과 물리적 권력을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강준만, 「이건희 시대」, 서울: 인물과사상사, 2005
노암 촘스키, 「촘스키, 세상의 권력을 말하다」, 서울: 시대의창, 2004
앨빈 토플러, 「권력이동(PowerShift)」, 서울 : 한국경제신문사, 1993
앨빈 토플러, 「The Next Society」,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2002
요슈타인 가아더, 「소피의 세계」, 서울 : 현암사, 2002
이필렬 외, 「과학 우리시대의 교양」, 서울 : 세종서적, 2004
장승권 외, 「디지털 권력」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