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

 1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
 2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2
 3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3
 4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4
 5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5
 6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6
 7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7
 8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8
 9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9
 10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0
 11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1
 12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2
 13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3
 14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4
 15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5
 16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6
 17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7
 18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8
 19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19
 20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50년대 문학 -남한문학사 북한문학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남한의 종군문학
1. 종군작가단의 결성
2. 종군작가단에 대한 평가
Ⅱ.남한의 전후 시

1. 전통 서정시 - 서정성의 회복과 그 확대
2. 모더니즘 시의 전개- 시적 인식과 그 확대
3. 민족시-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

Ⅲ. 남한의 전후 소설
1. 1950년대 소설 문단의 변화
2. 전후 소설의 양상
(1) 서구문예사조의 반영
(2) 간접적인 현실 비판
(3) 낙관적 전망의 반영
3. 전후 문단의 특징


Ⅰ.북한 문학의 형성과 전후 북한 문학의 동향
1. 북한 문학사, 왜 공부해야 하는가?
2. 초기 북한 문학의 성립 (1945 ~ 1950)
3. 한국전쟁과 북한문학 (1950 ~ 1953)
4. 전후 북한 문학계의 내외적 동향 (1953 ~)

Ⅱ.전후 북한문학의 도식주의 비판

1. 도식주의적 경향
2. 도식주의 비판 논의의 내외적 배경
(1) 국내적 요인
(2) 국외적 요인
3. 도식주의 비판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1) 비평적 논의 - 생활의 진실한 반영과 리얼리즘론의 복원
(2) 창작적 실천 - 다양한 문학적 경향의 개화
4. 수정주의 비판

Ⅲ.1950년대 북한 문학 후반

1. 천리마운동의 진입과정
2. 천리마 운동과 천리마 창작단
3. 천리마 창작단의 문학
4. 공산주의 교양에 대하여
5. 1950년대 북한 문학의 특징
본문내용
Ⅰ.남한의 종군문학
1. 종군작가단의 결성

전쟁이 시작된 후 전국 각지에서 임시로 활동하던 ‘문총구국대’를 바탕으로, 문인들은 각 군(軍)별로 모여서 종군작가단을 결성한다. 그 중 가장 먼저 ‘공군종군문인단’이 1951년 3월 9일 대구에서 결성되었다. 이 단체에는 조지훈, 마해송, 최인욱, 박목월, 김윤성, 유주현, 이한직, 이상로, 방기환, 최정희, 곽하신 등이 참여한다. 그들은 『창공』, 『코멘트』등의 기관지를 발간하면서 ‘항공기 헌납 운동’에 앞장섰다.
‘공군종군문인단’의 뒤를 이어 ‘육군종군작가단’이 결성되었다. ‘육군종군작가단’은 참여 인원이 훨씬 많았고, 그 활동 영역 또한 보다 넓었다. 참여한 작가들로는 최상덕, 김송, 박영준, 김기진, 김이석, 구상, 박인환, 유치환, 최태웅, 최독건, 정비석, 장덕조, 박영준, 양영문, 장만영 등이 있다. 이들은 기관지『전선문학』을 발간하고 직접 전쟁에 뛰어들기도 하며, 연극이나 강연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가장 마지막으로 결성된 종군작가단은 ‘해군종군작가단’이다. 이 단체는 결성 시기는 가장 늦었지만 문단의 핵심적인 인물들이 대거 참여했다. 염상섭, 이무영, 윤백남, 안수길, 이선구 등이 참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전쟁의 특성상 해전은 거의 벌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별다른 활동은 없었고, 기관지『해군』을 발간하는데 전력을 다했다.
참고문헌
김재용, 『북한 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4
신형기, 오성호,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김성수, 『통일의 문학 비평의 논리』, 책세상, 2001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945-1990』, 민음사 , 1993
방영이, 『한국현대문학사』, 한국문화사, 2004
임형택 외, 『한국현대대표소설선 8』, 창작과 비평사, 1996
신동욱 편저,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엄창섭, 『한국현대문학사』, 새문사, 2002
김재용,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소명출판, 2000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1999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2』, 시공사, 2000
신영덕, 『한국전쟁과 종군작가』, 국학자료원, 2002
김선학, 『한국현대문학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문학사와 비평 연구회, 『195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1
한양어문학회 편, 『1950년대 한국문학연구』, 보고사, 199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