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학의 이해와 기초

 1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
 2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2
 3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3
 4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4
 5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5
 6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6
 7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7
 8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8
 9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9
 10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0
 11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1
 12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2
 13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3
 14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4
 15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5
 16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6
 17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7
 18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문학의 이해와 기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의 시대 배경 및 작가 소개

17C의 시대상황
1) 시대배경
2) 철학과 사상
3) 종교

John Donne(1572-1631)
1) 생애
2) 작품세계

Andrew Marvell(1621-1678)
1) 생애
2) 작품세계

Metaphysical Poets
형이상학파
(1) Introduction
(2) What is...
(3) 형이상학파 시의 특징
(4) 형이상학파 시인들

2. 작품 해석

A valediction : Forbidding mourning
1. 해설
2. 형식
3. 중요구절 및 상징
4. 주제

The Sun Rising
1. 해설
3. 중요구절 및 상징
4. 주제

The Flea
1. 해설
2. 형식
3. 중요 구절 및 상징
4. 주제

To His Coy Mistress
1. 해설
2. 형식
3. 중요 구절 및 상징
4. 주제
본문내용
John Donne(1572-1631)
1) 생애
런던 출생. 카톨릭 교도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카톨릭의 영향을 받으며 자랐다. 1584년 옥스퍼드대학에 들어갔으나 중퇴하고, 1591년 법률학을 연구하기 시작하여 케임브리지대학에서 공부한 후 1592년 링컨스 인(Limcoln's Inn) 법학원에 들어가 정계나 법조계에서 입신할 뜻을 굳혔다. 그리하여 1596년과 1597년 2회에 걸쳐 에식스 백작을 따라 에스파냐 원정에 종군하였고, 귀국한 후에 국새상서(國璽尙書) T.에저튼경(卿)의 비서가 되었다. 그러나 그의 조카 Ann More와의 비밀결혼이 발각되어 직위도 잃고, 1602년까지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이 무렵에 에스파냐문학을 비롯한 각국의 문학사상에 흥미를 느껴 풍자시와 서정시를 썼고, 카톨릭 신앙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출옥 후 비록 자유의 몸이 되기는 하였으나,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괴로운 생활이 15년간이나 계속되었다.
1608 년 중병에 걸렸을 때에는 끊임없이 자살을 생각하여 《자살론》(1646)을 쓸 정도였다. 이때 카톨릭으로부터 영국국교로 개종하게 된다. 불우한 가운데서도 1609년에는 뛰어난 종교시 《신성 소네트》를 썼고, 이어서 애가(哀歌) 《세계의 해부》(1611)와 그 속편 《영혼의 걸음》으로 이루어진 《예제일(例祭日)》을 썼다. 1611년 대륙을 여행하고 돌아와서는 국왕의 조언을 받아들여 1615년에 성직자에 임명되어 국왕 앞에서 설교한 일도 있다. 1617년 아내를 여의고 마지막 대륙의 여행에서 돌아와 성 바울로 대성당의 사제장(司祭長)이 되어 죽을 때까지 그 직에 있었다.

2) 작품세계
Jopn Donne은 인습적인 시어와 비유, 부드러운 리듬 대신에 과거에는 풍자시에서나 사용했음직한 반엉적 표현과 일상 어법으로 구어적 리듬을 창조해 내었다. 그리고 선배 작가들이 존중했던 여성의 순결이라든지 정절 혹은 정조까지도 하찮은 것으로 치부하여 조롱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런 시의 모습에서 그는 신고전주의자들에게 “형이상학을 추구하고 있다”는 불평을 들었다.
Donne의 초기 시를 때로는 고통스러워하고 때로는 분노에 떨고 또 때로는 사랑이 환희에 사로잡혀 세계를 경멸하기도 했던 한 인간의 실상을 리얼하게 보여주는 ‘개인적 드라마의 변증법적 표현’이라고 한다면, 후기의 시는 긍정적 사랑에 대한 신랄한 조소에서 수도원이나 성당 안에서 명상에 잠겨 있는 금욕주의자의 근엄한 자아 성찰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Thomas Carew의 ‘기지의 왕(Monarch of wit)'라는 말을 듣던 그의 면모는 만년의 설교에도 여실히 나타나 명설교로도 이름이 알려졌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