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악장

 1  [고전문학사] 악장-1
 2  [고전문학사] 악장-2
 3  [고전문학사] 악장-3
 4  [고전문학사] 악장-4
 5  [고전문학사] 악장-5
 6  [고전문학사] 악장-6
 7  [고전문학사] 악장-7
 8  [고전문학사] 악장-8
 9  [고전문학사] 악장-9
 10  [고전문학사] 악장-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악장의 개념과 내용

2. 악장의 성립과정

3. 악장의 발전 과정
1) 조선 전기 문학의 특징

4. 악장의 형식과 유형 . 종류
1) 형식
2) 유형
3) 종류

5. 작가와 향유계층

6. 수록 문헌

7. 주요 작품의 개괄적 설명

8 . 작품
1) 표현상 특징
2) 내용상 특징

10. 악장의 가치와 의의
본문내용
1. 악장의 개념과 내용

악장은 조선 전기에 발생한 시가(詩歌) 형태로서, ‘악부(樂府)’라고도 한다. 종묘(宗廟)의 제향(祭享)이나 궁중의 제전(祭典), 연례(宴禮) 때 주악(奏樂)에 맞추어 부르던 가사(歌詞)이다. 특히 15세기에 주로 만들어진 조선 초기의 궁중 음악의 가사를 지칭한다. 궁정문학(宮廷文學), 아송문학(雅頌文學), 송시(頌詩), 송축시(頌祝詩), 송축가(頌祝歌), 송도가(頌禱歌)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악장은 주로 건국의 성업(聖業)과 번영을 찬양하거나 왕실의 안녕을 빌고, 선대 임금의 위업 및 공덕을 기리고 금상(今上)의 만수 및 자손의 번성을 송축(頌祝)한 내용으로, 특히 조선의 창업을 칭송한 것이 대부분이다. 역성혁명(易姓革命)을 통해 건국된 조선 왕조는 예로부터 나라와 백성을 다스리는 근본으로 여겨진 음악을 중요시하여, 이를 통해 건국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강조․ 홍보하고자 했다.
악장은 4구 2절의 형식으로 경기체가(景幾體歌)의 영향을 직접 받아 이루어진 특권계급의 과장적인 문학인데, 주로 한시(漢詩)의 형식을 이어받은 한문계의 악장이 중심이 되어 있고, 국문계의 악장도 있다.

악장에 대한 개념정의는 아래와 같이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이병기 : "악장은 선왕의 업적을 찬송하고 君王萬壽나 子孫永昌을 축원 또는 권계하는 의미로서 지어, 宗廟祭享이나 公私宴享에 쓰던 노래다. 고려 예종때 宋이 新樂과 大晟樂을 준 후로 그 樂에 맞추어 조정에 써 오며 이를 雅樂이라 했다."
--장덕순 : "이조 國初에는 신흥국가의 군주를 비롯하여 新都文化, 創國의 鴻業을 기리는 송축가가 유행하였다. 이런 일련의 歌群을 악장이라 하여......"

2. 악장의 성립과정

악장문학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당시 동양사회의 중심국이었던 중국으로부터 유교적 예악 문물이 유입되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정착된 한문악장과, 그 구체적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지만 우리 나름대로 자생적으로 전해 내려온 악장적인 장르의 이원적 흐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전해지는 악장문학의 큰 흐름은 중국 정격악장이지만, 악장문학의 연구에서 보다 가치 비중을 두고 논의될 성질의 작품은 고유 전통의 국문악장들이다.
조선초기에는 악곡이 첨부되지 않은 악장이 대부분이었고, 실제 사용 여부가 결정된 뒤에 비로소 악곡이 부가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적으로 악장은 고정되었으나 거기에 맞추어 음악은 다양하였다. 악장 창작당시 곡조까지 만들어 올리지 않고 지어 올릴 가사를 연향악으로 쓰라는 왕명에 따라 기존의 연향악곡을 그대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구임회, 「한국악장문학연구」, 동국대학교, 1992.
조규익,「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성기옥,「용비어천가의 서사적 짜임」,『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박찬수, 「용비어천가연구」, 충남대학교, 1994.
조동일 외 6인,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박기호, 『고려 조선조 시가 문학사』, 국학자료원, 2003
인터넷주소 www.solbi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