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

 1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
 2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2
 3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3
 4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4
 5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5
 6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6
 7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7
 8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8
 9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9
 10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0
 11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1
 12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2
 13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3
 14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4
 15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5
 16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6
 17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물교육]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요 약

서 론

조사지소 개황 및 연구방법
-조사지소의 개황
-식생 조사 방법
-토양(낙엽) 분석방법
-토양 동물의 채취, 추출방법 및 처리

결과 및 논의
-식생 조사
-식생과 토양환경
-군락별 토양 동물 종다양도의 비교
-식생 및 토양성분에 따른 토양동물(평균개체수) 분포경향
-토양 동물의 종 다양도와 토양 환경 비교

결 론
본문내용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토양 동물 분포 경향

요 약

토양동물과 식물은 상리공생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토양동물의 경우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기도 하고 그에 적응하기도 한다. 이렇게 식생과 토양동물의 관계가 밀접하다. 구체적으로 군락별 토양성분의 차이와 토양동물의 분포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규명하겠다. 식생조사에 따라 신갈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토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pH에서는 리기다소나무군락이, 함수량, 유기물함량, 질산량, 인산량 모두에서 신갈나무군락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pH, 함수량에서는 동물의 목별 분포경향을 달리 했으며, 유기물함량에서는 토양동물의 평균개체수와 정의 관계의 유사성을 나타내었고, 질산량에서는 역의 관계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에 따른 분포경향에서는 함수량, 유기물함량, 질산량, 인산량에서 정의 관계 유사성을 나타내었고, pH에서는 그 경향성을 논할 수 없었다.

서 론

토양은 무기물과 유기물로 나누어지는 두 가지의 큰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유기물 역시 토양무기물처럼 헤아릴 수 없는 변화를 겪으면서 분해되고 재합성되어 형성된다. 또한 낙엽 및 식물 뿌리도 토양의 유기물과 무기물처럼 분해된다. 유기물의 생성, 변화과정, 낙엽과 식물 뿌리의 분해를 생각한다는 것은 토양 속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활동하는 동물, 식물 그리고 미생물에 관해 주의를 기울인다는 뜻이다. 토양 동물 중에는 두더지나 땅강아지와 같이 큰 것도 있지만 현미경을 통해 보아야만 겨우 알아볼 수 있는 미생물도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 있어서 토양 동물과 함께 이런 식물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드물다. 지구상의 식물은 동물과 많은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가지기도 한다(Purves, 2004). 토양 동물은 토양의 유기소재들의 분해, 토양의 입단 구조의 생성, 보수성의 변화, 투수성의 변화, 토성의 변화, 양분의 축적 등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킴으로써 식생과 동물에 영향을 미쳐 토양 생태계 균형 유지 및 물질과 에너지 순환에도 큰 역할을 한다(손, 2000).
이렇게 식생과 토양동물은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위와 같은 이유로 식생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한 군락이라는 환경에서 그 존재를 무시 할 수 없는 토양 동물에 관해 초점을 두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조사지인 관악산에 분포되어 있는 2개의 다른 특성을 기지는 군락을 정하였다.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가 우점종인 군락과 활엽수인 신갈나무가 우점종인 군락을 비교하면서, 각 군락의 토양분석학적인 차이를 설명하고 이를 토양 동물에 확대, 적용시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군락별 토양성분의 차이에 따른 토양 동물의 분포 경향성을 보고, 생물적 요인과 물리화학적 요인이 그 군락 토양 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을 말한다.
참고문헌
Purves, Sadava, Orians and Heller. 2003. The science of biology. THOMSON. pp.990.
손홍인.최성식. 2000. 산불지역의 토양동물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5(2):47-62
김준민, 장남기. 1967. 토양유기물의 분해속도와 Microbial Population의 소장에 고나한 연구. 식물학회지 10: 21-31.
김종원, 정용규. 1995. 식생구조와 토양환경 분석을 통한 서식처의 생태학적 구분 -김포매립지와 그 근린 지역의 식생을 사례로-. 한국생태학회지 18: 307-321.
박봉규, 이인숙. 1981. 남한의 삼림생태계에 있어서의 낙엽의 분해모델. 한국생태학회지 4: 38-51.
박봉규, 김준민, 장남기. 1970. 광릉 및 오대산의 주요삼림식물의 Energy 및 양분순환에 대하여. 한국생활과학연구원농춘. 49-62.
이천룡. 1998. 삼림환경토양학. 보성문화사. 350.
전영문, 2001. 한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1.
차종환, 장남기, 임영득. 1969. 토양조건에 미치는 낙엽의 영향(2). 식물학회지 12: 15-21.
송호경. 1990. DCCA에 의한 계룡산과 덕유산의 삼림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임학회지 79: 216-221.
류병혁. 1997. 거제도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8.
이호준, 김종홍, 전영문, 정흥락. 2003.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6: 223-236.
정흥락. 1999. 대구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8.
조윤신, 오계철. 1987. 서울근교 자연생 소나무림에 대한 ordination 방법의 적용. 한국생태학회지 10: 63-80.
이지훈, 김인택. 2005. 남해군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한국생태학회지 28: 75-77.
박관수, 장규관.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