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

 1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1
 2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2
 3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3
 4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4
 5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5
 6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6
 7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7
 8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학]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실 수업연구

3. 한국어 교실 수업의 의사소통
3-1 교사의 발화
3-2 학생의 발화
3-3 수업의 전체적 구조
3-4 한국어 교실의 언어선택
3-5 주제 구조의 전개-의사소통의 과정과 조정

4. 결론
본문내용
2. 한국어 교실 수업연구

교실 수업 연구는 교실에서 무엇이 이뤄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 되었다. 교실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주제로 다루는 내용을 가지고 함께 상호작용을 하며 교수와 학습을 하는 사회적관계의 장이다. 교실에서 이뤄지는 상호작용은 교실이란 특수한 사회체계의 특성을 반영한다. 역동적인 교실의 상호작용에 대한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참여자 입장에서 교수- 학습의 본질에 대한 가설을 만들고 검증하여 교실을 사회적 체계의 하나로 그리고 교수- 학습의 본질을 의사소통의 과정으로 더 잘 이해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교실 연구의 흐름은 사회언어학, 사회학, 인류학, 교육인류학, 심리학, 언어학, 언어 교육 등의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하고 있다.
교실 수업은 본질적으로 언어적 활동이다. 참여자로서의 교사와학생은 교실이란 공간에서 같은 언어 코드를 공유하며 서로 대면하여 주제 내용의 교수- 학습을 이루기 위한 의사소통을 이룬다.
교실에서의 언어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인 접근은 다음 몇가지의 가정을 깔고 있다. 첫째, 교실에서의 상호작용은 언어의 구조적인 양상과 기능적인 양상에 관한 두 가지의 능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후자의 기능적인 양상은 상호작용을 하는 의사소통의 능력으로 불리는데, 교실에서 의사소통의 능력은 그 자체가 목적이면서 수단이 된다. 둘째, 교실은 독특한 의사소통의 맥락이라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 학생들은 목표로 하는 학업 내용을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 교실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언어 능력의 특정 양상들은 다르다는 것이다. 언어 사용에 대한 지식을 갖고 교실에 처음 들어 선 어린 학생들은 자신이 교실 밖에서 가져온 언어 사용의 양상에 대한 지식과 교실 안에서의 언어 사용 맥락 사이의 비연속적 특성들을 경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