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이규보

 1  [고전문학사] 이규보-1
 2  [고전문학사] 이규보-2
 3  [고전문학사] 이규보-3
 4  [고전문학사] 이규보-4
 5  [고전문학사] 이규보-5
 6  [고전문학사] 이규보-6
 7  [고전문학사] 이규보-7
 8  [고전문학사] 이규보-8
 9  [고전문학사] 이규보-9
 10  [고전문학사] 이규보-10
 11  [고전문학사] 이규보-11
 12  [고전문학사] 이규보-12
 13  [고전문학사] 이규보-13
 14  [고전문학사] 이규보-14
 15  [고전문학사] 이규보-15
 16  [고전문학사] 이규보-16
 17  [고전문학사] 이규보-17
 18  [고전문학사] 이규보-18
 19  [고전문학사] 이규보-19
 20  [고전문학사] 이규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이규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이 규 보
1이규보의 생애
2주 요 저 서

이규보의 산문
1백 운 소 설 ( 白雲小說 )
1)개 관
2)요점정리
3)본 문
4)구불의체

2슬 견 설 ( 芒犬說 )
1)요점정리
2)본 문
3)이규보의 슬견설 해설
① 작품의 이해와 감상
② 풍자적 입장에서 해석

3경 설 ( 鏡 說 )
1)요점정리
2)본 문
3)이규보의 경설 해설
① 이해와 감상
② 보충설명

이규보의 시관

1이규보의 시세계
1)어릴적부터 타고난 천재적인 시인의 면모
2)해좌칠현과의 접촉을 통한 비판적 안목의 형성
3)천마산 시절의 역사 인식과 창작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4)이규보에 관한 어용시비(御用是非)에 관한 소견
5)하급 벼슬생활 중의 이규보의 시세계
6)인천仁川 시기의 이규보
본문내용
본관 황려(黃驪:驪興). 자 춘경(春卿). 호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초명 인저(仁氐). 시호 문순(文順).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 이듬해 문과에 급제, 1199년(신종 2) 전주사록(全州司錄)이 되고 1202년(신종 5) 병마녹사 겸 수제(兵馬錄事兼修製)가 되었다.

1207년(희종 3)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권보직한림(權補直翰林)으로 발탁, 참군사(參軍事)·사재승(司宰丞)·우정언(右正言)을 거쳐 1219년(고종 6)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지방관의 죄를 묵인하여 계양도호부부사(桂陽都護府副使)로 좌천되었다.

1220년(고종 7) 예부낭중(禮部郞中)·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를 거쳐 30년 위위시판사(衛尉寺判事)가 되었으나, 팔관회(八關會) 행사에 잘못을 저질러 한때 위도(蝟島)에 유배되었으며 1232년(고종 19) 비서성판사(書省判事)에 승진하고, 이듬해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정당문학(政堂文學)·참지정사(參知政事)·태자소부(太子少傅) 등을 거쳐 1237년(고종 24)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감수국사(監修國事)·태자대보(太子大保)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은 당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는 유명하다.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써 격퇴한 명문장가였다. 시·술·거문고를 즐겨 삼혹호선생이라 자칭했으며, 만년에 불교에 귀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