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

 1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1
 2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2
 3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3
 4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4
 5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5
 6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6
 7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의 신사] 명 청 시대 신사의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특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신사의 사회적 특권
● 신사의 경제적 특권
● 신사의 특권적 지위이용
● 신사의 사회․ 경제적 역할
● 신사의 사회․ 경제적 역할이 가지는 성격에 관하여


본문내용
● 신사의 사회적 특권
신사들은 명대와 청대에 걸쳐 사회의 지도적인 집단을 형성했다. 이 사실은 지방의 수령들을 위한 여러 가지 지침서에서 등장하는 사례를 통해 확인된다. 그 사례를 통해 확인되는 사실이란 관료들이 신사를 중시했고, 신사를 일반 평민들과는 다른 대접을 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사들은 지방관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신사가 평민들과는 달리 관리들과 거의 자유스럽게 접촉이 가능했으며, 관리를 방문할 때도 신사는 평민들과 같은 특유의 굴욕적인 예절을 지킬 필요가 없었다는 것에서 그런 점은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신사의 특권적 지위는 형식적인 것에서도 표출되고 있다. 특별한 호칭 존경과 경의를 표하기 위해 평민들은 모든 관리들을 ‘대노야(大老爺)’라 불렀고, 관위나 관호를 가지고 있지 않는 거인, 공생, 생원, 감생 등과 같은 신사들을 ‘노야(老爺)’라 불렀다.(신사들 사이의 호칭은 거인, 생원 등과 같은 각자의 호칭이 사용되었다.)
․ 장식․ 정대(頂戴: 모자의 단추) 관리나 신사들은 지위를 나타내는 외적표시의 하나로, 모자에 금단추를 달았다. 예를 들면, 1품관의 관리는 상단부에는 루비가 박혀 있고 그 중앙부에는 진주가 장식된 꽃모양의 금단추를 조관(朝冠)에 달았다. 진사, 거인, 공생 등은 무늬없는 금단추를 달았으며, 하층신사인 생원과 감생은 무늬없는 은단추를 달았다.
그리고 의복 의복에서도 차이가 나타나, 1품관의 관리는 아홉 마리의 이무기가 그려진 조복을 입었고, 학위소지자는 푸른색의 띠를 두른 검은 도포를 입었다.
등 갖가지 외형적인 면에 있어서 관리와 마찬가지로 평민들과는 다른 모습을 취하였으며 특별한 의식이나 예절 등도 신사들의 지위가 지니고 있는 권위를 강조하는 존재들이었다. 이와 같이 특별한 모자나 의복 이외에도 그들 신사만이 착용할 수 있는 많은 장식들이 있었는데 능라, 아름다운 장식, 말안장이나 고삐의 장식 등뿐만 아니라, 담비, 여우, 스라소니 등의 가죽도 신사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 아무리 부유해도 평민은 관․ 조복은 말할 것도 없고 그러한 화려한 물건들을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이 규정을 어겼을 경우 처벌되었다.
신사가 지닌 공적인 특권의 하나로, 특정의례에 참가할 수 있는 배타적인 권리가 있었다. 한 집안 에서 제사를 지낼 때에도 신사는 그 집안의 지도자로서 대접을 받았고 어떤 가문에서는 제사를 행할 때 그 의례를 집행할 수 있는 사람을 신사로 제한하였다. 만약에 어떤 신사가 이와 같은 권리를 평민에게 양보했을 경우, 그 신사는 신사의 지위를 욕되게 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조상에 대한 예의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 신사만이 참석할 수 있는 의식 이외에도 마을 모든 사람들이 참석하는 연회나 의례에서조차 신사들은 특별한 좌석에 앉았다.
신사들의 지위는 청률(淸律)․ 포고문․ 관례(慣例) 등에 실린 형벌과 소송절차에 관한 특별법 조항에 규정됨으로써 더욱 공고해졌다.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동양사학연구실 『講座中國史Ⅳ』1989 中「明˙淸時代의 國家權力과 紳士」
張仲禮 지음, 金漢植 外 옮김. 『中國의 紳士』中 「신사의 구성과 성격」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