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1  [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1
 2  [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2
 3  [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3
 4  [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4
 5  [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현실과 담론의 불합리에 대한 탈주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김소월
2. 정지용
3. 백석과 김영랑 - 아프게 갈고 닦은 목소리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920~30년대의 문학은 사회 구성요소들과의 상호지속적인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의식적으로는 서구 근대가 서서히 경험으로서 자리 잡기 시작하고, 전통지향적인 경험이 그것과 함께 새롭게 자각되기 시작하는 무렵이기 때문이다. 또, 정치적으로는 일제의 언어를 통한 폭력적 차원의 우민화정책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언어’와 관련한 문제는 식민치하라는 강력한 현실적 담론이 “지방어로서의 한국어”를 발생시키는 점에서 주목해볼만 하다. 지배적 담화체계 혹은 권위적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일제에 대응하여 볼 때, 한국어는 일종의 ‘지방어’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정치적 무기’로서의 언어가 현실을 주조하는 소임을 담당하게 되는 일은 보다 본질적인 차원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시어
표준어
작품명
시어
표준어
작품명
설업다
서럽다

여봅셔요
여보세요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아주나
아주
눈물이 쉬르르
흘러납니다
설은 맘
서러운 마음
눈물이 쉬르르
흘러납니다
외려
오히려
절제
바드랍게
보드랍게
춘강
잽시
잽싸게
실제
칩음
추움
실제
싀멋없이
멋적게
월색
부엿한
뿌우연한
전망
저볏는
망설이는
기회
불설위
너무 서러워
접동새
차라지다
차오르다
꿈으로
오는 한 사람
감도록
오랫동안
닭은 꼬꾸요
이즈음 시인들의 집단적 움직임은 이전과는 확연하게 구별되는 문제의식과 노력을 보이기 시작한다. 시적체험의 표현과 모국어 자체에 관한 열렬한 관심표출이 바로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심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김소월을 시작으로, 정지용, 백석과 김영랑의 시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른바 ‘한국어의 훈련’이라 할만한, 강력한 언어 움직임으로서의 색채와 그 의미를 더듬어보는 셈이다. 더불어 이러한 논의가 갖는 현실과 담론에 관한 탈주로서의 의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윤식 ․ 김현, 『현대문학사』, 민음사, 1973
윤석산, 「소월시의 리듬의식1, 진달래꽃의 정착과정」, 1986
윤석산, 「소월시 연구, 화자를 중심으로」, 1989
오세영, 『김소월, 그 삶과 문학』, 2000
김명인,『시어의 풍경』,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이혜령,「한글운동과 근대 미디어」,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2004. 9
이은봉,『시 창작이란 무엇인가』, 화남, 2003
유종호,『시란 무엇인가 - 경험의 시학』, 민음사, 2001
김학동, 『김영랑』, 문학세계사, 1993
고형진, 『백석』, 새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