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

 1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
 2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2
 3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3
 4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4
 5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5
 6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6
 7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7
 8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8
 9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9
 10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0
 11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1
 12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2
 13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3
 14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4
 15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5
 16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6
 17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7
 18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8
 19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19
 20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뉴미디어콘텐츠론] 지능형 TV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능형 TV의 등장배경 - 디지털 테크놀러지 & 융합
(1) 기술과 기기
(2) 산업과 서비스
(3) 네트워크
2. PC에서 지능형 TV로
3. 기술적 요인 - MiddleWare
(1) 수신제한시스템(CAS)
(2) PVR(Personal Video Recorder)
(3) EPG(Electronic Programing Guide)
5. 지능형 TV의 형태
(1) Interactive TV & IPTV
(2) 애니타임 TV (Any Time TV)
(3) 온 디멘드 TV(On-Demand TV)
(4) 3DTV
4. 지능형 TV를 활용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1) 독립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2) 연동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6. 국내/해외 지능형 TV기술의 발전 현황 및 전망
7. 관련 정책
(1) SmarTV(Super-intelligent Multimedia Anytime-anywhere Realistic TV)
(2) BCN, NGNA
8.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정책적 지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능형 TV는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전으로 인해 가능해졌다. 아날로그 기술에 의존한 일방향적인 매스커뮤니케이션 양식은 TV라는 매체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상기 이상으로 생각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주파수에 따른 채널의 제한성은 획일화된 프로그램의 반복적 재생산과 소비 과정을 되풀이하게 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전은 아날로그 시대의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다. 원래의 신호값에 직비례해서 자유로이 변화하는 값으로 구성된 아놀로그 신호와는 달리 디지털 신호는 유한개의 값(0 또는 1)만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표본화, 양자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이는 출력 과정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되더라도 완벽하게 원상태를 보존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디지털 방식에서는 여러 가지 정보의 결합과 분리가 수월하게 때문에 음성, 영상, 데이터 등 성질이 다른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축기술과 광대역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신속하게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음성이나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전송에 있어서 고도의 정확성을 보장해주는 디지털 시스템은 다채널 환경을 통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는 물론 첨단 양방향 서비스를 가능하게 주었으며 윤석민(1999),「다채널TV론」(커뮤니케이션북스), P73~80, 118~123 참고
디지털 콘텐츠의 중요성을 무한히 증가시켰다. 21세기 한국 경제를 이끌 10대 산업 중의 하나로 콘텐츠가 선정되었으며 더욱이 요즘에는 국가 경쟁력 기반의 하나를 디지털 콘텐츠의 규모와 우수성에서 찾는 시각이 보편화되고 있고, 이는 “콘텐츠는 왕이다”라는 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 윤석민(1999), , 커뮤니케이션 북스
◎ 김문환(2001), , 다인미디어
◎ 송해룡(2003), , 다락방
◎ 유재천․김대호外(2004), , 커뮤니케이션 북스
◎ 현대원․박창신(2004), , 디지털 미디어 리서치
◎ 김정기(2003), , 한울 아카데미
◎ 김대호(2002), , 나남
◎ ETRI(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