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1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
 2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2
 3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3
 4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4
 5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5
 6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6
 7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7
 8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8
 9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9
 10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0
 11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1
 12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2
 13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3
 14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4
 15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5
 16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6
 17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7
 18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8
 19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19
 20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학]우리나라 여성의 역사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처가살이와 가족구성
(1) 조선시대 가부장제와 가족제도
(2) 성리학의 여성관
(3) 가족제도의 변화
(4) 상복제의 변화
2. 혼 인
(1) 고려시대의 혼인
1) 혼인의 시기와 절차
2) 근친혼에 대한 규제
(2) 이혼과 재혼
3. 사회․문화적 모습
(1) 재산상속
(2) 족보와 제사
(3) 호주제
4. 음서제
5. 오늘날의 여성을 위한 제도
(1) 여성관련법
(2) 호주제 폐지를 위한 근거

Ⅲ. 결 론
1. 고려여성의 사회적 지위
2 .현대적 관점에서 본 고려여성의 지위문제
3. 우리들의 생각 (토론내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시대 여성의 사회적인 지위는 가정과 대비된 사회의 개념에만 한정하여 생각할 수는 없다. 이는 전 근대의 사회 개념은 자본주의사회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고려시대 여성들의 사회적인 지위는 가정 내에서의 역할과 상호 연관되어 작용하고 있어 포괄적인 사회개념 안에서 생각하여야만 한다.
고려시대 여성의 사회적인 지위를 가름할 수 있는 공간은 세 개이다. 먼저 가정 내에서 보면, 부모의 재산은 아들이나 딸에게 균등하게 상속되었고 또 부부 간의 재산은 별도로 운영되는 등 거의 남녀 권한의 차이를 느낄 수 없다. 딸의 부양을 원하는 고려시대 부모들을 생각·하면 가정생활에 있어서는 딸을 더 귀중하게 여길 수 있는 여지도 많다.
이는 두 번째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가정 내에서 행하는 생산 부분에서의 역할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고려 시대의 주요 산업인 농업과 직조 중 농업은 남성, 직조는 여성으로 그 역할이 구분되어 있다. 가내 노동에서 남자의 일이 차지하는 비중과 비슷한 여성의 일이 있었다는 이 간단한 사실은 참으로 쉬운 결론이지만, 고려시대의 여성이 그렇게 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데는 많은 시간 필요한 부분이다. 이는 조세에서 차지하는 布(포)의 비중만큼이나 여성의 역할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을 것으로 생각하면 조금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고려시대는 전쟁이 잦아서 남자들이 가정에 부재하는 경우도 많았다. 개인 소유의 토지를 경작하기 위해서는 직조 뿐 아니라 농업에서의 여성의 역할 또한 많이 필요하였다고 할 수 있다. 더 검토가 있어야겠지만 이는 중국보다 고려 여성이 보다 나은 사회적인 지위를 지니게 된 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앞의 두 경우와는 달리 세 번째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가정 밖에서의 여성 역할은 달리 나타난다. 국가공직에서의 여성 배제 문제가 보다 더 구체화된 시기는 고려시기였다. 공직에서의 여성 배제는 고대부터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관료 진출 방법인 과거제가 더 중시되어짐에 따라 신분에 의해 특혜형태로 등용된 여성의 관직 진출은 더 어려워지게 되었다. 물론 기은사라는 직이 여성에게 주어졌다는 사실을 통해서 고려시대는 아직은 완전히 배제된 시기는 아니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여성과 남성』 조혜정
한국사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시대 생활사』 한국고문서학회
『5백년 고려사』 박종기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이배용외
『우리 역사의 7가지 풍경』 역사문제연구소
『우리 여성의 역사』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
『고려시대사강의』 한국중세사학회편
하고 싶은 말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자료 구매하시는 분들을 위해 예쁜 레포트표지도 첨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