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시가론] 잡가

 1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
 2  [한국고전시가론] 잡가-2
 3  [한국고전시가론] 잡가-3
 4  [한국고전시가론] 잡가-4
 5  [한국고전시가론] 잡가-5
 6  [한국고전시가론] 잡가-6
 7  [한국고전시가론] 잡가-7
 8  [한국고전시가론] 잡가-8
 9  [한국고전시가론] 잡가-9
 10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0
 11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1
 12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2
 13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3
 14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4
 15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5
 16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6
 17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7
 18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8
 19  [한국고전시가론] 잡가-19
 20  [한국고전시가론] 잡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시가론] 잡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1
Ⅱ 잡가의 개념2
1 잡가의 개념에 대한 논의
2 국악계ㆍ문학계에서의 잡가
(1) 국악계에서의 잡가
(2) 문학계에서의 잡가 -잡가의 장르 처리 문제-
Ⅲ 잡가의 유래10
Ⅳ 잡가의 전승11
Ⅴ 잡가의 시가 문학사적 의의12
Ⅵ 잡가의 분류12
1 국악계에서의 분류
(1) 창법에 따른 분류 (2) 지역에 따른 분류
ꊱ 경기잡가(京畿雜歌) ꊲ 서도잡가(西道雜歌) ꊳ 남도잡가(南道雜歌)
2 문학계에서의 분류
(1) 형식에 따른 분류
ꊱ 형식Ⅰ ꊲ 형식Ⅱ ꊳ 형식Ⅲ
(2) 영향 관계에 따른 분류
ꊱ 가사계열의 잡가 ꊲ 민요계열의 잡가
ꊳ 장형시조계열의 잡가 ꊴ 판소리계열의 잡가
(3) 형태에 따른 분류
ꊱ 서술체잡가 ꊲ 분절체잡가
ꊳ 묘사체잡가 ꊴ 대화체잡가
Ⅶ 잡가의 특성79
1 잡가의 미의식
(1) 문법상 모순구조 (2) 문화이념상 모순구조
2 잡가 사설의 구비성
3 잡가 사설의 기록성
4 잡가의 서민적 정서
(1) 유흥성 추구 (2) 본성적 욕구 표출 (3) 사대부적 정서의 모방
5 잡가의 정서표출 양상
(1) 사설의 비순차성과 유동성 (2)전렴과 후렴의 다양화 (3) 사설의 구동성
6 잡가의 담당층
Ⅷ 잡가의 갈래교섭 양상98
1 제 1형 2 제 2형 1 제 3형
[참고문헌]100
본문내용
조선 후기는 신분제사회가 존재기반을 잃으면서 서민문화가 전면적으로 활성화되던 시기였다 경제구조의 변동과 새로운 사상의 유입 등은 서민의식의 성장을 가져왔고 서민문화의 전성기를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잡가는 서민문화가 활성화되어 가던 19세기에 신분적으로는 하층민에 속하던 직업적인 소리패들이 놀이공간에서 부르던 잡다한 노래들을 가리킨다 하층민의 신분에 속하던 이러한 소리패들은 가단을 형성해서 활동하던 중인출신의 소리패들과는 달리, 민속음악의 가락을 새롭게 변형시키고 가다듬으면서 민요, 무가, 시조, 가사, 판소리 등의 기존의 시가양식의 노랫말을 수용하여 놀이마당에서 부르는 음악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노래들은 내용상으로 보아서는 동일한 연관을 찾기 어렵지만 일정한 음악과 연결되어짐으로써 하나의 양식으로 확립되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노래들은 복합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게 된다 19세기 이후에 놀이공간에서 불려진 이러한 잡다한 노래를 바로 잡가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를 가지는 잡가라는 명칭은 노래가 불려지던 당시부터 쓰여 졌던 것 같다 잡가란 말은 잡스런 노래란 뜻으로 이해될 수도 있지만 포괄적으로 보자면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부르는 노래 정도로 파악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즉 잡가는 시조나 가사와 같이 하나의 통일된 작품 구성원리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는 여러 양식을 혼합하여 놀이공간에서 부르는 노래로써, 한편으로는 열린 장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정제되지 못한 비체계적인 예술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고미숙, 『18세기에서 20세기 초 한국시가사의 구도』, 소명, 1998
․ 김경희, 「잡가의 장르 성격에 대한 연구 : 경기잡가를 중심으로」, 국립국악 원, 2000
․ 김문기, 『서민가사 연구』, 형설출판사, 2000
․ 김승찬․손종흠, 『古典詩歌論』,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4
․ 김영운, 「경기 12잡가의 음악 형식」, 한국민요학회, 2002
․ 김학성, 「잡가의 사설 특서에 나타난 구비성과 기록성」, 대동문화연구 제 33집, 1998
『韓國古典詩歌의 硏究』, 한국학술정보, 2001
․ 김흥규, 『한국 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 박애경, 「잡가의 개념과 범주의 문제」,학국시가학회, 2003
․ 박진태, 『우리 노래의 한과 신명』, 대구대학교출판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