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문학] 판소리

 1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
 2  [한국민속문학] 판소리-2
 3  [한국민속문학] 판소리-3
 4  [한국민속문학] 판소리-4
 5  [한국민속문학] 판소리-5
 6  [한국민속문학] 판소리-6
 7  [한국민속문학] 판소리-7
 8  [한국민속문학] 판소리-8
 9  [한국민속문학] 판소리-9
 10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0
 11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1
 12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2
 13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3
 14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4
 15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5
 16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6
 17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7
 18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8
 19  [한국민속문학] 판소리-19
 20  [한국민속문학] 판소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민속문학] 판소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와 성격
(1)정의
(2)성격

2. 어원과 의의 및 기원
(1) 어원(語源)
(2) 국문학사적 의의
(3) 판소리의 기원

3. 형 성

4. 판소리의 무대적 구성

5. 판소리의 형태적 구성

6. 판소리에 등장하는 인물

7. 판소리 열 두 마당

8. 발생 지역과 특징

9. 판소리 장단

10. 판소리의 창조(唱調)

11. 판소리의 성음

12. 판소리의 문학적 성격

13. 단가

14. 북한에서의 판소리

- 參考文獻 -
본문내용
(1) 정의
광대의 창조(唱調)와 창사(唱詞)의 총칭.'판'이란 노름판, 싸움판, 씨름판의 판과 같이 어떤 일을 하는 자리, 곧 '무대'란 뜻이며, '소리'는 노래와 사설을 뜻한다. 이 판소리는 전통적인 민속적 연예(演藝) 양식으로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형식이다. 흔히, 판소리의 대본을 판소리 사설, 그 창자(唱者)를 판소리 광대(廣大),또는 소리꾼이라 한다. 판소리는 한 사람의 창자가 한 사람의 고수(鼓手)의 북 강단과 추임새에 맞추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노래, 창)와 아니리(말)로 엮어 발림(몸짓)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창악적 구비 서사시이다. 다시 말하면 창우(倡優:판소리를 전문으로 하는 가수)가 부르는 서사적인 노래를 한문으로는 잡가(雜歌), 본사가, 창가, 극가 등으로 치고 있으나 본디 우 말로는 판소리라 일러 왔다. 판소리란 판놀음으로 연행되는 소리라는 뜻이다. 판놀음은 넓은 마당을 놀이판으로 삼고 '판을 벌린다'하여 놀이의 구색을 갖추고, '판을 짠다'하여 놀이 순서를 제대로 짜서 처음부터 끝가지 제대로 연행하는 놀음을 가리키는 바 판놀음으로 타는 줄타기는 판줄이라 하고, 판놀음으로 치는 농악은 판굿이라 한다. 그렇듯이 판놀음으로 벌이는 소리를 판소리라 하는 것이니 판소리란 이름이 본디부터 있었던 이름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김기형, 김대행, 김종철, 김현주, 박일용.『한국의 판소리 문화』. 서울: 박이정, 2003
정병욱. 『한국의 판소리』. 서울: 집문당, 1981
정충권.『판소리 사설의 연원과 변모』. 서울: 다운샘, 2001
조동일, 김흥규. 『판소리의 理解』.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5
최동현.『판소리 연구』. 서울: 문학아카데미사, 199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