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 연구 레포트

 1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
 2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2
 3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3
 4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4
 5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5
 6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6
 7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7
 8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8
 9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9
 10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0
 11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1
 12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2
 13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3
 14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4
 15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5
 16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금오신화 연구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생애
2.사상
1)유교사상
2)불교사상
3)도교사상
Ⅱ. 본론
1.金鰲新話의 創作淵源과 그 背景
2.金鰲新話 구조 분석
1)萬福寺樗蒲記(만복사 저포기)
2)李生窺墻傳(이생규장전)
3)醉遊浮碧亭記(취유부벽정기)
4)南炎浮洲志(남염부주지)
5)龍宮赴宴錄(용궁부연록)
Ⅲ.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金時習에 관한 연구는 『金鰲新話』연구로부터 시작된다. 『금오신화』를 明나라 구우(1341~1427)의 『剪燈新話』와 비교한 사람은 金安老이다. 그는 김시습이 금오산에 들어가 책을 지어서 석실에 비장해 두고 이르기를,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아는 자 있으리라 했는데 그 글은 대체로 述異寓意로서 『전등신화』를 본받아 지은 것이다 金安老, 『龍泉談寂記』.
라고 했다. 그 후 崔南善 『金鰲新話』란 결초 卓越한 大作이랄 것이 아니며 先儒의 說과 같이 明初 구우의 『剪燈新話』에 依한 一傳奇니 그 體制와 措辭上에서 뿐만 아니라 立題命意와 取材設人에 까지 『剪燈新話』를 藍本으로 하였다 하면서 個別作品을 對比시킨 논의다(崔南善, 『啓明』19, 1927).
․金台俊 金台俊, 『朝鮮小說史』(朝鮮語學會, 1933).
․周王山 周王山, 『朝鮮古代小說史』(正音社, 1950).
․朴晟義 朴晟義, 『韓國古代小說史』(일신사, 1958).
․金起東 金起東, 『李朝時代小說論』(精硏社, 1959).
․鄭鉒東 鄭鉒東, 『古代小說論』(형설출판사, 1966).
․申基亨 申基亨, 『韓國小說發達史』(창문사, 1960).
등이 『금오신화』는 『전등신화』를 모방한 한국 최초의 소설이라고 간주했다. 이에 비해 李在秀는 「萬福寺樗蒲記」는 「등목취유취경원기」를 모방한 것이 아니며, 「南炎浮洲志」는 「令狐生冥夢錄」과 유사점을 인정, 「龍宮赴宴錄」은 「水宮慶會錄」에 영향을 입은 것으로 보고 李在秀, 『韓國小說硏究』(宣明文化史, 1969).
있다.
그러자 張德順은 「만복사저포기」가 『전등신화』의 「富貴發跡司志」와 같은 계열이 아니며 「등목취유취경원기」의 모방작이 아님을 주장 張德順, 『韓國說話文學硏究』(서울대 출판부, 1978), 236~237쪽
했다.
그 후 林熒澤 林熒澤, 「現實主義的 世界觀과 金鰲新話」,『국문학연구』13(1971)
․趙東一 趙東一 , 『韓國小說의 理論』(지식산업사, 1977)
․蘇在英 蘇在英 , 『古小說通論』(二友出版社, 1983).
․金光淳 金光淳, 「韓國古小說史序說」, 『어문논총』19(1985).
․李相澤 李相澤, 『古典小說論』(방통대 출판부, 1986).
․薜重煥 薜重煥, 『金鰲新話硏究』(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83).
등에 의해 기왕의 모방설에 대한 구체적인 반론이 제기, 이에 따라 『금오신화』는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김시습의 독자적인 창의성이 부각되었음을 밝혀 졌다. 그리고 한편 김시습의 『금오신화』가 한국최초의 소설이란 점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면서『금오신화』최초의 소설이란 데에 異見을 제시한 사람은 池浚模, (『어문학』32, 한국어문학회, 1975).
고소설의 출현시기에 대한 문제가 학계에 새로운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검토하면서 김시습의 생애와 사상, 그의 작품중 『금오신화』에 대해 재조명하여 김시습이 차지하고 있는 문학사적 위치를 천착하고자 한다.




⑤龍宮赴宴錄
의 대강의 줄거리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文士 韓生이 瓢淵에 사는 龍神의 부름을 받아 龍宮에 들려서 上樑文을 지어 바치고 시로써 贊하여 그의 뛰어 난 詩才와 文才를 龍宮에 크게 떨쳤으며, 潤筆宴을 마친 뒤에 궁실과 彊城을 두루 돌아보고 용왕으로부터 寶物 을 받아 가지고 돌아오니 한낱 꿈에 불과 하였다.

위에서 살핀 것처럼 고려의 문사 韓生이 용궁의 잔치에 초대를 받아 용녀의 결혼을 장식하기 위한 가회각의 상량문을 짓고 윤필연을 마친 뒤 용궁의 모든 건물과 의기를 구경하고 돌아오니 一場春夢이었다. 金鰲新話 外, (한국고전문학대계 9, 명문당 1994).
이에 韓生이 가산을 정리하여 명산에 몸을 숨겨 현실의 명리를 떠났다는 이야기로 전개되는 이 작품은 金時習 자신의 자서전적인 내용이다. 특히 韓生은 金時習 자신을, 용왕은 세종을, 용녀는 문종과 단종을 그려낸 것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던 과거를 기억하면서 현재 방랑생활에서 인생행로의 종착점을 모색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재호, "金鰲新話攷", 부산대 논문집 제14집(1972),
따라서 이 작품의 주 思想은 龍宮思想이 전체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儒敎的 王道主義에 입각한 이상적인 군왕의 공덕을 말함이라 하겠다. 그 예로 韓生이 용왕에게 바친 상량문의 첫 부분을 인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竊以堪輿之內 神龍最靈 人物之間 配匹至重 旣有潤物之功 可無愆福之基……"
"생각하건데, 천지란에는 용왕님이 가장 신령스럽고, 인물의 사이에는 배필이 지극히 중요한데, 용왕님께서는 이미 만물을 윤택하신 공로가 있으시니 어찌 복 받을 터전이 없으리……"

결국 「龍宮赴宴錄」은 金時習이 주인공 韓生을 통하여 그의 詩才를 자랑하여 스스로 왕에게 인정 받고 싶은 것을 그린 것으로 이는 金時習의 무의식 속에서의 자부심이 드러난 결과라고 본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每月堂- 그 文學과 思想』:蘇在英.「金鰲新話의 문학적 가 치」.강원대학교 출판부. 1989.
․薛重煥. 『金鰲新話硏究』.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1983.
․박희병.『韓國傳記小說의 美學』. 돌베개.1997.
․황패강 외.『한국문학작가론 2』.집문당.2000.
․정병욱. 「김시습연구」. 『한국고전이 재인식』.홍성사. 1979.
․蘇仁鎬.『韓國傳奇文學硏究』.國學資料院. 1998.
․이재호. 「金鰲新話攷」. 부산대 논문집 제14집.1972.
․김두경. 「金時習과 作品 金鰲新話에 나타난 思想 硏究」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6.
․이하경. 「金鰲新話 硏究」.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6.
․박경미. 「金鰲新話 硏究」. 연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