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

 1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
 2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2
 3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3
 4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4
 5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5
 6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6
 7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7
 8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8
 9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9
 10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0
 11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1
 12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2
 13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3
 14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4
 15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5
 16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6
 17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7
 18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8
 19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19
 20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해외입양문제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해외 입양의 실태. 문제점. 그리고 사례
ⅰ.입양의 형태
ⅱ.해외 입양의 실태 파악
1. 우리나라 해외 입양의 실태
2. 입양에 관한 일반 사항
1) 입양된 국가
2) 입양의 제안 및 소요 기간
3) 입양의 동기
4) 입양 신청 시 제시한 조건
5) 입양 사실의 공개 여부
3. 입양아에 관한 사항
1)입양아의 나이
2)입양 대상 요인
3)입양아의 신체 및 건강 상태
4. 성인이 된 해외 입양아
ⅲ. 해외 입양의 문제점
ⅳ. 문제점이 발생한 해외 입양의 사례
1. 비극적인 해외 입양아들의 삶
2. 한국을 그리워하는 입양아들
3. 두 번 상처 입는 해외 입양아들

Ⅲ. 해외 입양의 원인 분석
ⅰ. 미혼모
ⅱ. 혈통 중심주의
ⅲ. 까다로운 조건 및 장애아 및 조산아에 대한 입양의 기피
ⅳ. 비현실적인 정부 지원
ⅴ. 입양 관련법의 불명확성
ⅵ. 해외 입양을 부추기는 면

Ⅳ. 해외 입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ⅰ. 국민의식 개혁
ⅱ. 미혼모 대책
ⅲ. 정부의 제도적 지원
ⅳ. 국내입양 성공사례

Ⅴ. 사회참여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우리 조가 해외입양을 사회적 문제로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한겨레21에서 소개한 김삼돌씨의 주장을 접하면서 이다. 해외 입양에 대해 표면적으로 '안타깝다.' '가슴 아프다.'와 같이 감정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훨씬 심각한 내면의 문제점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신이 입양아인 김삼돌씨의 주장은 해외입양이 식민지 노예제도와 유사하고 일제시대 종군위안부 여성과도 유사하다는 급진적인 주장을 제시한다. 서구의 수요에 의해 수출되고 자신의 언어를 박탈당하지만 경제적 조건이 향상된다는 점 때문에 두 제도가 정당화 된다는 것이다. 종군위안부와의 유사성은 지배적 권력에 인간을 공물로 바치는 한국적 제도와 연결된다고 주장한다. 두 집단 모두 수치와 불명예로 인해 보이지 않고 말 할 수도 없는... 소위 하층민이라는 점도 유사하다. 또 그는 해외입양 중단은 과거 청산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주장하며 세계사적으로 인류사적으로 혈연관계가 없는 아이를 입양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했다. 현재 서구에서 행해지고 있는 입양의 형태는 매우 예외적인 것이고 노예제도에 있어서는 서구적 관점을 비판하면서 왜 입양문제에 있어서는 서구적 관점이 보편적이고 바람직한 것처럼 묘사되는지 의문을 제시했다. 그리고 서구에서 중남미나 아프리카 어린이가 아니라 아시아(특히 동아시아)어린이가 주요 대상이 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시했다. 그는 서구 제국주의가 흑인과 남미 원주민을 혹독하게 착취해서 그 어린이들한테는 자책감과 꺼림칙함이 작용하지만 아시아의 어린이들에게는 직접적인 식민지 경영을 한 적이 없기에 그런 감정이 덜 한 것 같다고 생각했다. 서구는 입양을 통해 아시아의 부모와 같은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버나드 로너간의 영성신학 방법론, 김인숙, 가톨릭 출판사, 2005.
현대사회와 아동, 김현용외, 서울출판사, 1997
현대사회에서의 입양의 이해와 입양의 성공, 배태순, 경남대학교출판사, 1998
*참고논문
국내입양 실태와 관련한 입양 사회교육 연구, 김경원,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