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CTD)에 대한 접근

 1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CTD)에 대한 접근-1
 2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CTD)에 대한 접근-2
 3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CTD)에 대한 접근-3
 4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CTD)에 대한 접근-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쇼그렌 증후군 레포트
  • 생명의 신비 - 자가면역질환에 대해서
  • [관절염][류마티스관절염][퇴행성관절염][관절염치료]관절염의 정의, 관절염의 구조, 관절염의 특성과 류마티스관절염(류머티스, 류마티즘, 류머티즘), 퇴행성관절염 및 관절염의 치료법, 관절염의 관리법 심층 분석
  • [기초간호과학 공통형]2019- 기초간호과학 1. 1) 허혈의 발생기전을 제시하고, 기초간호과학 2)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를 기술하시오. 기초간호과학 2. 1) 자가면역성 질환의 병태생리를 제시하고, 2) 기관특이성 면역질환과 비특이성 면역질환의 특성 비교와 3) 각각에 해당되는 질환을 기술하시오. -기초간호과학 2019
  • 2019 기초간호과학] 1.허혈의 발생기전을 제시하고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술-기초간호과학,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 간호중재 2.자가면역성 질환의 병태생리, 기관특이성 면역질환과 비특이성 면역질환의 특성 비교와 각각에 해당되는 질환-기초간호과학, 자가면역성질환의 병태생리, 기관특이성면역질환 비특이성면역질환 특성 비교, 기초간호과학
  • 기초간호과학] 2019년 방송대 기초간호과학 1.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기초간호과학 2.자가면역성 질환의 병태생리, 기관특이성 면역질환과 비특이성 면역질환의 특성 비교와 각각에 해당되는 질환-기초간호과학, 허혈의 발생기전, 자가면역성 질환의 병태생리
  • [의학과][진단검사의학과] Autoimmunity test
  • [PBL] 전신부종과 호흡곤란을 호소한 젊은 여자
  • 증후군의 정의 및 종류, 원인, 증상, 대책,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나의 의견 정리
  • [간호학] SGA(초저출생체중아)
  • 소개글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CTD)에 대한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혼합결합조직병(MCTD)은 1972년 Sharp등이 처음 기술한 질환으로 경피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피부근염의 혼합된 임상증상을 보이고 추출성 핵항원의 하나인 리보핵산단백(ribonucleoprotein, RNP)에 대한 항체가 혈청내에서 높게 검출되는 질환이다.1)
    Sharp는 가용성 핵항원을 부착한 양의 적혈구를 사용한 수신혈구 응집반응에서 Anti ENA(추출핵 항원, Ectractable Nuclear Antigen)항체를 측정하고 이 항체가 단독으로 역가가 높은 환자 25명의 임상소견에서 몇 가지 특징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로 루프스, 전신성 경화증, 다발성 근염의 혼합증상이 있고 둘째로 신경장애가 적으며 섯째로 스테로이드에 잘 반응하고 넷째로 예후가 양호하며 마지막으로 혈청학적으로 Anti ENA 항체가 높은 역가로 지속되고 Anti ds DNA 항체의 양성 빈도가 높으며, Anti Smith 항체가 음성이라는 특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환자군을 독립된 질환 단위로 혼합결체조직질환(MCTD)로 명명할 것을 제창하였다.2)
    일반적으로 항-RNP 항체 유무가 혼합결합조직병의 진단에 필수 불가결한 조건으로 간주되며 1972년 이전에 중복 증후군으로 보고되었던 환자들 중 적어도 일부는 혼합결합조직병으로 생각된다. 형광 항핵 항체 검사상 반점 모양, 직접 면역형광 검사상 입상표피 핵염색을 보이는 이 질환은 신 침범이 드물고 스테로이드에 대한 치료 반응이 좋아 비교적 예후가 양호한 질환이다.1)
    참고문헌
    1)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서울: 집문당 ; 2001, p448-449
    2) 서선교, 이석종, 정상립, 김도원. 혼합결체조직병 1예. 대한피부과학회지. 1992; 30(6): p. 932-938
    3) 송춘영, 조성, 김광민, 김우열, 박용환, 오지은, 김성록. Early 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MCTD)에 동반된 막성 사구체 신염 1예. 대한내과학회지. 2005; 68(4)
    4) 최도영, 이재동, 백용현, 이송실, 유명철, 한정수, 양형인, 박상도, 유미현, 박은경, 박동석.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한약의 면역학적 연구동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