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

 1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
 2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2
 3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3
 4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4
 5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5
 6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6
 7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7
 8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8
 9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9
 10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0
 11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1
 12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2
 13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3
 14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4
 15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5
 16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6
 17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7
 18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8
 19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19
 20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 속의 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그림
(1) 조선시대 춘화의 형성배경
(2) 조선후기 춘화도
(3) 춘화의 특징과 그 실태
(4) 인간적 체온이 느껴지는 한국의 춘화
1) 김홍도 작
2) 신윤복 작
3) 최우석 작
(5) 춘화의 의의와 재조명의 필요성

무용
(1) 무용의 정의
(2) 춤의 본질
(3) 우리 전통무용 속에 나타난 성의 표현

문학
(1) 고려가요 - 예 : 서경별곡
(2) 조선 (사녀 VS 기생)
(3) 현대

국악

3-1. 소결론
그림
무용
문학
음악

3-2. 대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존논리, 그것 참 무시할 수 없는 논리이다. 국가적인 장벽이 없어지고 세계가 하나로 되어 가는 마당에 우리 문화만을 외쳐서는 안 될 일이다. 하지만 공존을 위해 필요한 것은 우선, 우리 문화부터 제대로 아는 일일 것이다. 문화는 꽃이다. 사상의 뿌리, 정치·제도의 줄기, 경제·사회의 건강한 수액(樹液)이 가지 끝까지 고루 펼쳐진 다음에야 비로소 문화라는 귀한 꽃은 핀다. 지금 한국 문화는 겉보기에는 화려한 듯싶으나 내실을 살펴보면 주체성의 혼란, 방법론의 혼미로 우리 정서와 유리된 거친 들판의 가시밭길을 헤매고 있다.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야 한다. 문화는 선인들의 과거를 성실하게 배워 발전적 미래를 이어가는 재창조 과정이다. 문화의 꽃은 무엇보다도 우리 시대가 김홍도 시대에 못지 않은 훌륭한 사회를 이룰 때에만 피어난다. 무엇보다 근본적으로 우리의 삶 그 자체가 아름다워져야 한다. 다시 말해, 문화를 공부하는 것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들 자신과 우리가 속한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 또 의미와 가치들에 대한 새로운 윤리적 질서를 획득하는 데 있다. 전통문화를 공부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현대를 이해한다면 더 깊은 이해가 가능해질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문화의 특징에 초점을 두고 전통문화의 성에 대해 접근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욱동『탈춤의 미학』, 현암사, 1994
김종택 『조선의 여인』, 새문화출판사, 1984
김학성, 권두환,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김헌선 『한국 전통문화 이해의 길잡이』. 1999
문정희 엮음 『기생시집』, 해냄, 2000 `문정희역 시조, 한시 인용`
미술사랑 『한국의 춘화』 2000.5
박을수, 『한국시가문학사』, 아세아문화사, 1997
송지현, 『다시 쓰는 여성과 문학』,평민사, 1996
이덕희『매혹의 초대』, 예하
이복규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이봉옥『조선 고전 무용』, 한국문화사, 1996
이태호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여성신문사
이혜순·정하영·성기옥·강진옥·이동연·박무영·조혜란,『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태학사, 1999
임형택·고미숙 『한국고전시가선』, 창작과 비평사, 1997
장사훈『한국전통 무용서론』, 서울대학교 동양음악 연구소
장정윤『한국 전통 무용의 상징적 요소에 대한 철학적 고찰』, 대한무용학회
한국여성개발원 『한국역사 속의 여성인물』Ⅰ, 1998
한국학연구소 『조선어 해화사』 청록출판사, 1977
허남춘,「고전시가와 예술사의 관련 양상 14~15세기를 중심으로」『1999년 전국학술대회집』, 한국시가학회

http://www.koreartnet.com/wOOrII/sori/pansori/pansori_5madang.html」

경향신문 2003-07-16 18:36:27
여성신문 94/10/7 12면
하고 싶은 말
한국의 전통문화인 그림, 무용, 문학, 음악 등에서 우리의 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보고서입니다. 관련 보고서를 준비하시는 분들의 많은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