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문학교육

 1  [국어교육론] 문학교육-1
 2  [국어교육론] 문학교육-2
 3  [국어교육론] 문학교육-3
 4  [국어교육론] 문학교육-4
 5  [국어교육론] 문학교육-5
 6  [국어교육론] 문학교육-6
 7  [국어교육론] 문학교육-7
 8  [국어교육론] 문학교육-8
 9  [국어교육론] 문학교육-9
 10  [국어교육론] 문학교육-10
 11  [국어교육론] 문학교육-11
 12  [국어교육론] 문학교육-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론] 문학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 문학문화
2.1.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의 개념 탐색
2.2. 문학과 문화 교육의 상호성
2.3. 문학교육과 문화 교육의 접경
2.4. 문학을 통한 문화 교육 전략

3. 문학 언어
3.1.언어의 용법
3.2.문학 언어의 특징
3.3.문학 언어의 기능
3.4.문학 장르에 따른 언어상의 특징

4. 문학수업 맛보기

5. 나오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교육의 효용성,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문학교육 또한 그 존립에 대한 논란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한창이다. 교육의 기본목표나 가치 조차도 상대성에 의해 평가되고 있는 이 시대에 문학교육 또한 원래의 자리에서 文學이라는 학문적 근원을 고수할 수는 없다. 여기 이러한 고민의 출발점이자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문학문화’라는 개념이다. 문학이라는 것 또한 결국은 생활문화, 예술문화의 한부분으로 삶을 풍요롭게 하고 가치를 높이는 요소로써 21세기의 창의적 인간의 목표로 하는 생활교육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울러 문화라는 좀더 폭넓은 바다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교육적 방법론을 찾아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조는 이러한 맥락에서 문학문화와 문학언어를 살펴본 뒤 간략하게 나마 문학수업의 일단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2. 문학문화 문학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문화론으로서의 문학교육론에 대한 단상은 ‘박인기 외, 『문학을 통한 교육』, 삼지원, p162-184, 2005.’와 ‘한국고전문학회,『국문학과 문화』, 월인 , 2001. ’에서 참고하였다.

2.1.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의 개념 탐색 여기서는 문화의 다양한 학문적, 사상적 협의들 중에서 문학교육의 바탕을 이룰 만한 문화의 개념을 끌어왔다고 할 수 있다. 문학문화에서 문화의 개념에 대해서는 '김성진, 『문학교육론의 쟁점과 전망』, 삼지원, p230-241, 2004.'와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3-58, 2001.’에서 참고 하였다.

(1) 삶의 방식
문화란 사람들이 집단이나 사회에 범위를 둔 어떤 특정한 생활 방식이다. 그리고 생활 방식은 사회성원에 의해 논증된 행동의 유형으로 구성된다. 그런 유형화된 행동은 미래에 어떤 다른 유형화된 행동을 하도록 이끄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사람들의 기대와 신념으로 귀결된다. 그래서 심리적인 행동이나 일상적인 행위도 문화로 간주된다. 문화를 삶의 방식, 생황의 방식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문화가 문화적 환경에서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인식하고 문화의 상대성을 폭넓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
(2) 인류의 가치 있는 정신적 산물
인류의 가치 있는 정신적 산물은 물질적 유형과 정신적 유형의 양면으로 나타난다. ‘문화유산’이라는 것이 이에 해당하며, 인류의 가치 있는 정신적 산물로서 ‘고급문화’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상과 구별되는 미적 활동 및 그 결과물을 말한다.
(3)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는 문화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적 범주이다. 제임스 캐리는 영국의 문화 연구는 다양하고 복잡한 양식으로 문화를 이데올로기와 동일시하기 때문에 문화연구는 이데올로기 연구라고 표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람시는 이데올로기를 헤게모니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헤게모니는 반대 계급의 소멸을 통해서가 아닌 반대 계급의 이익을 헤게모니를 쥔 집단의 정치적 관계 내로 접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홀에 따르면 미디어 메시지에 있어서 이데올로기의 효과는 메시지를 ‘현실’의 자연스럽고 자발적인 표현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이데올로기 자체를 은폐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진, 『문학교육론의 쟁점과 전망』, 삼지원, 2004.
박인기 외, 『문학을 통한 교육』, 삼지원, 2005.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이남호,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현대문학, 2001.
한국고전문학회,『국문학과 문화』, 월인 , 2001.
www.daum.net (문학언어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