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

 1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
 2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2
 3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3
 4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4
 5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5
 6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6
 7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7
 8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8
 9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9
 10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0
 11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1
 12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2
 13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3
 14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4
 15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5
 16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6
 17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7
 18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Ⅴ.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동기 및 연구문제
한국 언론은 ‘냄비 근성’이 강하다고 한다. 열전도율이 높은 냄비를 불로 가열시키면 급격히 달아올랐다가, 불을 끄면 급격한 속도로 식는 것과 같은 양상을 한국 언론이 보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어떤 사건이 발생하면 매우 짧은 기간동안만 폭발적으로 많은 기사를 내보내다가 갑작스럽게 지속적인 보도를 중단하고 다른 이슈로 넘어가, 과거의 사건을 잊어버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한국 언론이 선정적이거나 단발적인 화제성이 높은 사건 보도에 집중하며, 지속적인 사회 감시 기능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다는 비판과도 연결된다.
그러나 과연 한국 언론이 냄비 근성이 강한 것일까? 우리는 이 명제를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여 고정관념처럼 받아들이고 있다. 이 말인즉슨, 고정관념처럼 받아들여 왔기 때문에 이 명제에 의문을 품어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명제가 정말 진실인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해 봄으로써,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에 대한 한국인의 고정관념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고정관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은, 이 고정관념이 과연 한국 언론 비판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성이나 시의성이 높은 작업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언론의 냄비 근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통해 이 통념이 정말 맞는 것인가를 확인해 보기로 했다. “한국 언론은 냄비 근성이 강한가?”가 최초로 정한 연구 문제였지만, 보도량 등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이 없으면, 실증적인 통계 분석의 신뢰성이 떨어져서 수량적인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냄비 근성이 별로 없으며 공신력이 높다고 하는 미국 언론과 비교 분석을 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결정된 최종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김상관・조병훈, 「한국의 월드컵 출전 대회별 축구 관련 보도량 분석」, 『경남 체육연구』 5,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0, 35-44.
김상관・조병훈・백승엽, 백운효, 「한국의 월드컵 출전 대회별 축구 관련 보도량 분석Ⅱ」,
『경남 체육연구』 6,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1, 1-19.
김정탁, 「'병' 주고 '약' 주는 한국언론: 주식의 '냄비장세' 못지 않은 언론의 '냄비보도'」,
『저널리즘비평』8, 한국언론학회, 1992, 29-40.
서정우, 「양은냄비식 언론보도관행」,『저널리즘비평』5, 한국언론학회, 1991, 66-72.
차배근, 『社會科學硏究方法』, 세영사, 199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