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

 1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1
 2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2
 3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3
 4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4
 5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5
 6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6
 7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7
 8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8
 9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9
 10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10
 11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11
 12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12
 13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과 사회]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실태와 전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1. 문학의 위기,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의 가능성
2. 현재 한국 디지털 서사의 상황과 가능성
3. 행위의 형식(forms of behavior)으로서의 인터액티브 시나리오
4. 링크하기와 상호텍스트성( intertextuality), 저자/독자/텍스트의 경계
5. ‘골렘’형 인물
6. 새로운 글쓰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학의 위기,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의 가능성*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


80년대, 거대담론이 유효할 때까지 문학은 한국 사회에 문제를 제기하고 사상의 향방을 이끄는 중요한 글쓰기로 군림해왔다. 일제 강점기, 문학은 금지된 정치행위의 대리물로 시대를 이끄는 지식인의 의사 표현 수단이었으며 이런 성향은 유교의 전통적인 文士 의식과 맞물려 한국 지성사의 한 전통으로 이어져왔다. 누구나 한 번쯤 최인훈의 을 밤새워 읽어보았을 것이며, 󰡔토지󰡕나 󰡔태백산맥󰡕 등의 대하소설을 읽으면서 분단의 시초와 상처에 대해 고민해 보았을 것이다. 문학은 일상의 사소함의 의미조차 우리 앞에 세세히 짚어주었으며 역사의식의 반대편에 서있다고 할 수 있는 시원의 삶도 제시해주었다.
그런데 지금 그 문학작품들이 점차 우리 시대의 중심부에서 멀어지고 있다. 작품이 우리에게 일으키는 반향의 폭이 좁아졌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작품이 팔리지 않고 있다. 이런 징후는 삼십 대 여성 작가의 대거 등장, 최루성 순정 소설의 인기 등과 독특한 방식으로 얽히면서 암울함을 더해가고 있다. 이는 신춘 문예 응모자가 훨씬 늘어난 것과 대학 신문 소설 공모가 부진한 것이 동전의 양면인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런 현상이 개탄해야 할 일이라거나 일시적인 일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적 공간에서는 시인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현상은 본질적으로 인류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영상매체가 출현했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다. 단순히 동구권의 몰락, 거대담론의 부재로 사람들의 시선을 모을 중심 담론이 부재하기 때문만은 아닌 것이다. 말로 의사소통을 하던 인류가 문자를 발명한 이후, 책을 중심으로 지식이 생산, 전달되던 전통이 이제 디지털 미디어의 발명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으려 하고 있다. 텍스트와 본질적으로 다른 하이퍼텍스트에서 지식은 전례에 없던 방식으로 생산, 교환, 소비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영상매체는 훨씬 쉽고 본격적으로 우리 앞에 서있다.
그리고 이 매체는 예술의 중요한 표현매체로 우리 앞에 다가왔고 특히 글을 표현의 도구로 삼아온 문학은 이 영향을 가장 심각하게 받는다. 즉 문학의 위기는 텍스트의 위기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이야기라는 인간의 자기표현의 원질은 원시 시대부터 있어왔고 이것이 문자 시대에 활자를 매체로 한 문학으로 존재했으며 영화나 드라마를 위한 시나리오로 존재했다. 그리고 디지털의 시대에 하이퍼텍스트 상에서 다시 새로운 표현의 방식을 획득한다.
참고문헌
도정일 외, 󰡔영상문화󰡕, 한국영상문화학회, 2000년 창간호.
도정일, 「영상시대의 문학의 힘과 가능성」, 󰡔현대문학󰡕, 1998년 1월호.
안성원, 「새로운 문화매체로 떠오른 디지털 북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비전」, 한국영상문학회 제2차 정기학술대회, 이화여대 SK텔레콤관, 2000년 6월 17일
정근원, 「영상 세대의 출현과 인식론의 혁명」, 󰡔세계의 문학󰡕, 1993년 여름호.
최혜실, 「디지털 서사의 미학」, 󰡔디지털 시대의 문화 예술󰡕, 문학과지성, 1999.
최혜실, 「새로운 소설의 가능성: 하이퍼텍스트 소설의 미학」, 󰡔내러티브󰡕, 2000년 9월호
최혜실, 「영상, 디지털, 서사」,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생각의 나무, 1999.
최혜실, 󰡔모든 견고한 것들은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사라진다󰡕, 생각의 나무, 2000.
Bogdal, Klaus-Michal, 문학이론연구회 역, 󰡔새로운 문학 이론의 흐름󰡕, 문학과 지성사, 1997.
Bolz, Nobert, 윤종석 역, 󰡔구텐베르크-은하계의 끝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상황들󰡕, 문학과 지성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