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

 1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
 2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2
 3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3
 4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4
 5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5
 6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6
 7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7
 8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8
 9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9
 10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0
 11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1
 12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2
 13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3
 14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4
 15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5
 16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6
 17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7
 18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8
 19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19
 20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교육계열
  • 2006.10.28
  • 40페이지 / hwp
  • 2,000원
  • 6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교육, 역사학, 사학, 발해, 역사연구] 남북국론을 통해 바라본 발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머리말

Ⅱ. 발해의 지방제도와 교통로를 통해 본 고구려 계승

Ⅲ. 발해문화의 역사적 위상
1. 발해의 건축과 온돌 - 거주 유적을 중심으로
2. 무덤을 통해 바라본 발해의 고구려 계승

Ⅳ. 발해의 외교
1. 발해의 대당·대일본 외교
(1) 발해 영토확장에서의 대당외교
(2) 일본의 발해에 대한 외교적 입장
2. 발해와 통일신라의 대립과 교섭
(1) 발해와 통일신라의 대립
(2) 발해와 통일신라의 교섭

Ⅴ. 고려의 발해인식의 다양한 양상
1. 고려 초기 발해인식 - 동류의식
2. 고려중기 발해 인식 - 동류와 비정통이라는 견해의 대립
3. 무신집권기의 발해인식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발해는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 아스라이 떠오르는 옛 추억과 같은 것이면서도 무언가 잘 잡히지 않는 존재가 아닌가. 발해는 고구려 옛 장수였던 대조영이 세운 나라였고, 그것은 엄연히 우리나라 역사의 한 부분이라고 배워왔으면서도, 사실은 우리에게 잊혀진 역사인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들이 우리의 역사와 유적으로 다가오고 있는가. 그것은 물론 아니다. 교과서에서 배워온 것처럼 우리 민족의 전유물로 인정하기에는 난관들이 가로놓여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발해의 위상정립을 위하여 정치, 문화, 외교, 계승의식을 다루어 볼 것이다.
정치면에서는 지방제도를 다루어 고구려와 중복되는 지역의 통치와 각 지방에서 외교시에 사용했던 교통로를 통해 발해의 지방통치제도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문화면에서는 발해건축 중 온돌과 고분을 통해 그 안에서 우리 민족이 이루어 놓은 공통성을 찾아내고 나아가 발해 문화유산의 우수성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새로운 문화의 발생·발전과정은 사회의 물질적 조건의 변화에 의존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자립성을 가지며, 새 문화는 앞선 문화와의 연관 속에서 발전하고 창조된다는 것을 보이지 않게 강조하게 될 것이다.
외교 면에서는 발해의 대당·대일본 외교를 살펴보고 이 관계를 통해 남북국의 대립과 교섭과정을 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남북국이 서로 공동체 의식이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 동북아시아가 시끄럽다. 특별히 이슈가 되는 것은 고구려와 발해의 문제인데 중국, 남한, 북한, 특히 발해의 경우 러시아까지 이를 둘러싼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그러면 발해는 어디에 속하는 것일까? 이를 규명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발해와 고려의 계승관계를 고려인들의 발해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따라서 이 논고는 지금까지 조사되고 발굴 수집된 발해의 기록들을 바탕으로 그 안에서 고구려의 계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발해 역사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한다.

참고문헌
◎ 참고논문

송기호,「발해의 천도와 그 배경」『한국고대사연구』 제36권, 2004
송기호,「발해문화사의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사학회 122, 韓國史硏究會, 2003
임상선,「발해 정치사의 연구 현황과 과제」,『한국사연구』, 제 9호, 한국사연구회, 4, 2003
김은국,「발해의 대외관계사연구의 현황과 과제」,『한국사연구』,한국사연구회 ,2003
이효형,「고려시대 발해 ․ 발해 유민 인식의 추이」, 『역사와 경계』, 2003
조이옥,「8세기 중엽 발해와 일본의 관계」,『한국고대사연구 25』,서경문화사, 2002
박진숙,「발해의 지방지배와 수령」, 『국사논총 98호』, 국사편찬위원회, 2001
박진숙,「발해의 대일본외교 연구」, 충남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조이옥,「8세기 전반 신라의 대발해공격과 패강」,『동양고전연구』, 동양고전학회, 2000,
변인석,「8세기 東아시아 情勢에서 바라본 唐·渤海 關係」, 『국사관논총 제85집』, 국사편찬위원회, 1999,
변인석,「8세기 동아시아 정세에서 바라본 당․발해 관계」,『국사관논총 85』,1999
정진헌,「발해사 사료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고구려연구』, 고구려연구회, 1998
송기호,「발해의 지방통치와 그 실상」, 『한국고대사 연구』, 제 11호 신서원, 1997
박남훈,「발해 건국집단의 지배계층 검토」, 『중앙사론』, 중앙사학연구회, 1997
김광수,「고구려 전반기의 ‘가’계급」, 『건대사학 6』, 건국대학교 사학회, 1997
장상열,「발해 건축의 역사적 위치」, 『고고민속논문집Ⅲ,Ⅳ』, 민족문화, 1995
한인호,「고구려건축의 역사적지위」, 『고고민속논문집Ⅷ,Ⅸ』, 민족문화, 1995
임석규,「발해 반랍성 출토 이불병좌상의 연구」『불교미술연구』제2호, 1995
한규철,「신라와 발해의 교섭과 대립」,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신라문화선양회, 1994
박남훈,「발해 건국 참여집단 연구」, 『국사관논총 42』, 국사편찬위원회, 1993
하고 싶은 말
많이 이용해 주세요!!^^

정성들여서 작성한 논문입니다.

보장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