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영조의 탕평책

 1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
 2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2
 3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3
 4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4
 5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5
 6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6
 7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7
 8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8
 9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9
 10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0
 11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1
 12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2
 13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3
 14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4
 15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5
 16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6
 17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7
 18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8
 19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19
 20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영조의 탕평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붕당정치의 전개

Ⅲ. 영조의 생애

Ⅳ. 영조조의 당쟁과정
(1) 당쟁의 전개과정
(2) 《심경》을 역이용한 영조
Ⅴ. 탕평책의 의미

Ⅵ. 탕평책의 의의와 한계

Ⅶ. 탕평책의 현대사적 의의
(1) 붕당과 파벌싸움
(2) 영조와 노무현의 개혁정치

Ⅷ. 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18세기가 한국사에 있어서 중세적 질서의 동요와 그에 대한 여러 방면에서의 대책과 수정이 모색되고 시행되던 변화의 시기였다고 함은 이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화현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사회경제적인 면이나 실학 등의 사상적 측면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어 왔을 뿐 정작 그러한 변화를 주도하고 거기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던 당시인들의 정치활동에 관해서는 거의 외면하다시피 하여 부진한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재기에서 출발하여 18세기라는 1세기 동안의 정치사의 중심인 탕평책에 대하여 그것의 본질과 성격 등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를 토대로 18세기 정치사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다.

Ⅱ. 붕당정치의 과정
(별도로 첨부된 붕당의 계보와 같이 봐주세요^-^)

 붕당의 효시라 할 동인과 서인의 분열은 김효원과 심의겸의 이조전랑 자리를 놓고 벌인 대결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그리고 척신 정치에 관한 입장 차이도 한 몫 하였다. 서인 세력의 경우 명종년간 구래의 척신 우위 정치를 선조 즉위 이후 사람 우위 정치로 전환하는 것을 적극 지원한 심의겸의 공로를 인정하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문제는 심의겸이 사림의 시대가 열렸던 당시에 사림을 돕기는 했으나 정작 자신은 척신 시대의 산물이었다는 점이다. 이렇듯 서인은 척신 정치의 구체적인 기반을 가진 인물이라도 사림 정치로 전진하는 방향을 받아들이면 사림으로 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현실적 진보파에 해당하는 성리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반대로 척신 심의겸으로 상징되는 구체제적 질서와 그 상징인 특권 권력층을 사림 정치에서 제거하자는 공론을 내세운 측이 동인이다. 동인은 정통파와 실천파 성리학자의 지지를 받았다.
동인의 분열은 동 서의 분열만큼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대체로 정여립 역모사건, 즉 증거 조작이 많고 견강부회가 심한 정략적 사건을 일으킨 서인의 처리 문제를 두고 나누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북인은 정여립 역모 사건을 조작이라 보면서 역모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명확한 증거도 없이 불순하다거나 잘못된 정치적 판단을 했다는 이유로 억울하게 죽었다고 생각했다. 보다 실천적이고 급진적인 서경덕, 조식 계열의 학파가 대체로 이판단을 지지했다. 반면 정여립 역모사건 중 국왕에 대한 불경죄 부분을 긍정하는 쪽이 남인이다. 이들은 정개청 등 몇몇 인물의 경우는 죽을 죄까지 저지르지 않았다고 생각했지만 정여립의 역적 모의는 인정했다. 즉 군주의 기본적인 권위를 유지하는 선에서 잘못된 정치적 조치를 원상회복시켜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보다 보수적인 이황 계열의 학파가 이 판단을 지지하였다. 선조대에는 남인이 우세하였지만 임진왜란 이후 의병의 활동과 향촌 사회의 기반을 유지한 북인이 정권을 잡았다. 그 후 서인과 남인의 공존 체제가 어느 정도 유지되었지만, 숙종 이후에는 서인의 일당 전제가 지속되었다.
참고문헌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조선후기당쟁사연구』 이은순, 일조각, 1988
『朝鮮後期 蕩平政治 硏究』, 김성윤 , 지식산업사, 1997
『우리 역사를 읽는 33가지 테마』, 우윤, 푸른숲 , 2000
『조선시대 당쟁사 2』, 이성무, 동방미디어, 2000
『영조와 정조의 나라』, 박광용, 푸른역사, 2000
『군주 리더십』, 김만중, 거송미디어 2001
『시대 정신과 대통령 리더쉽』, 김인수, 신원문화사, 2003
『당쟁으로 보는 조선 역사』 이덕일, 석필, 2003
『한국사통론』, 변태섭, 삼영사, 2003
『선비의 배반』박성순, 고즈윈, 2004
『역사의 갈림길에서 고뇌하는 조선 사람들』, 최완기,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2004
「英祖代(영조대) 初半(초반)의 蕩平策(탕평책)과 蕩平派(탕평파)의 活動(활동)」 정만조
신문 기사:
중앙일보 2006.04.08 [중앙 포럼] 코드 인사, 지역 편중 인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