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

 1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
 2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2
 3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3
 4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4
 5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5
 6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6
 7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7
 8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8
 9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9
 10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0
 11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1
 12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2
 13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3
 14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4
 15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5
 16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6
 17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7
 18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8
 19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19
 20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시조의 개관과 역사적 전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目次
1. 시조의 개관 – 명칭
- 기원
- 분류, 형식
- 작품집
- 작가 및 사상
- 특징 및 의의
2. 조선 전.중기의 시조 – 평시조 연구를 중심으로
3. 조선 후기의 시조 – 사설시조 연구를 중심으로
본문내용
1. 시조의 개관
시조는 고대 시가의 전통에 그 기원을 둔다. 그 후 중세․근세를 거쳐서 현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 민족의 호흡에 가장 알맞은 시형으로 계승 발전되어 온 장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시조는 한국 문학사가 남긴 작품들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압도적이다. 그리하여 시조는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한국 시가의 대표 장르라고 할 수 있겠다.

(1) 명칭 : 단가(短歌), 혹은 시조(時調 - 조선 영조 때 창곡상의 명칭인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줄인 말)
‘시조’라는 명칭은 조선왕조 영조 때에 비롯된 것으로 보아 옳을 것이다. 그런데 이 시조라는 명칭의 원의(原義)는 ‘시절가요(時節歌謠)’ 즉 ‘당대의 유행가요’라는 말이 줄어서 된 말이므로 엄격히 말해서 시조라는 명칭은 문학 장르의 명칭이라기보다 음악 곡조의 명칭이라고 하겠다. 그러던 것이 근대에 들어와서 서구 문학의 영향을 입어 과거에 없었던 문학 장르, 즉 창가(唱歌)․신체시․자유시․산문시 등이 나타났기 때문에 그것들과 우리의 전통적인 옛 시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3章 45자 내외의 특정한 형태를 갖춘 이 시형을 음악상의 명칭인 ‘시조’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이라 본다.
그런데 이 시형은 ‘시조’라고 부르기 전에는 ‘短歌’라고도 하였고, 어떤 이는 ‘시여(詩餘)’ 또는 ‘신번(新翻)’․‘장단가(長短歌)’․‘신조(新調)’라고 일컬어 왔었다. 이와 같이 오랜 시간동안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글로 지어졌고, 노래로 불려졌던 시조는 문학상으로는 ‘시조시형’이라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는 동시에 음악상으로는 ‘시조창’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불려져 왔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국문학신강 편찬위원회, 국문학신강, 새문사, 1985.
김대행, 시조유형론,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총서 16,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6.
김흥주,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84.